반발수위 높이는 與강경파
4자 회담이 진전을 보지 못하자 열린우리당 내의 반발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나라당과의 야합으로 열린우리당의 정체성을 훼손했다"며 이부영(李富榮) 당의장의 소환 및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까지 터져 나온 것. '240시간 의원총회'라는 이름으로 농성 중인 열린우리당 의원 74명도 "타협 가능성이 없는 만큼 직권 상정이 불가피하다"고 가세했다.
유시민(柳時敏)·김태홍(金泰弘)·김형주(金炯柱)·임종인(林鍾仁) 의원은 27일 "더이상 4인 대표회담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국회법에 따라 사회권을 발동, 다수결로 처리하도록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을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도부에 대해서도 "국보법을 대체입법 형식으로 당론변경을 시도하는 작태를 중단하라"고 했다.
김태홍 의원은 "전혀 대화가 통하지 않는 '무생물'인 야당과 합의하라는 국회의장이나, 자고 나면 말을 바꾸는 천 대표 모두 우리가 보기에는 '사람'같지 않다"고 비꼬았다.
열린우리당 '4대 개혁입법 연내관철을 위한 당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6일 "4대 입법을 무력화시키는 지연전술로 참여정부를 압살하려는 한나라당 책략에 놀아나고 있는 현 지도부는 퇴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 소속 당원 300여 명은 이날 오후 중앙당사 앞에서 집회를 갖고 "지도부는 4자 회담이라는 당헌·당규 상에도 없는 의사결정기구를 급조, 당론을 뒤엎으려 하고 있다"며 "중앙위원회로부터 협상권한을 위임받지 않은 채 4자 회담을 진행 중인 당의장의 행위는 월권"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앞서 국가보안법 폐지 국민연대(국민연대)는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보법 연내폐지가 무산되면 김 의장, 열린우리당 이 의장, 천 대표 퇴진운동을 벌이겠다"고 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