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당대표와 원내대표 4인이 임시국회 정상화에 합의했다. 국보법 등 4대 법안에 대해 '합의 처리'와 '연내 처리'라는 전혀 아귀가 맞지 않는 문구(文句)에 도장을 찍은 것이다. 그래서 본란은, 아니 국민들은 별반 기대를 걸지 않는 눈치다. 도장 찍은 합의서가 화장실에 가 있는 게 한두 번이 아닌 탓이다. 이 가공할 국민적 불신을 씻어내자면 4인이 대표직을 내던지는 각오로 정파적 이해(利害)를 초월하는 수밖에 없음을 밝힌다.
이부영과 천정배, 박근혜와 김덕룡 4인의 대표는 일단 국민에게 몰매 맞는 자리를 피했다. 급한 불만 끈 것이다. 어쨌거나 국회 각 상임위마다 수북이 쌓인 법안들의 신속한 처리에 전력을 다 해달라. 가장 시급한 것은 새해 예산안과 이라크 파병연장 동의안이다. 정부의 예산 원안 131조5천억 원을 고수하는 여당과 최소한 3조원 이상 깎아야겠다는 한나라당과의 차이는 크지만 남은 1주일 꼬박 심의에 매달린다면 '최선의 예산'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문제는 쌍방 간의 불신과 두더지처럼 튀어나오는 '돌출 정쟁'이다. 이해찬 총리 때문에 보름을 날려버렸고, 주성영 의원 때문에 열흘을 잃어버린 것은 뼈아프다. 정쟁이 불신을 부른 것이다. 4인 대표의 이번 합의도 시간에 쫓긴 봉합처방일 뿐 여차하면 휴지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당장 열린우리당 강경파들은 '국보법 합의 처리'에 합의해 줬다고 농성에 들어갔다. 여야 지도부가 국보법 폐지와 사수의 양쪽 강경파에 또다시 휘둘려서 정치력을 상실한다면 리더로서의 자격이 없음이다.
국가보안법에 목을 매단 여야 강경파들도 엊그제 대구에서 굶어 죽은 아이를 생각하기 바란다. 세상사 부질없어 보이지 않는가? 국민들이 새해 소망 1순위로 '건강'을 내던지고 '소득'을 택한 그 사연이 안타깝지 않은가? 제발 판깨지 말라.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