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 증세가 있는 최모(39·대구시 북구 침산동)씨는 최근 달서구의 한 병원에서 15만원을 내고 CT 사진을 찍었다. 그는 좀 더 정확한 진단을 받기 위해 이 사진을 들고 대학병원에 갔는데 담당 교수가 '화질이 나빠 판독이 어렵다'고 해 할 수 없이 대학병원에서 다시 촬영했다.
이는 일부 의료기관들이 병원의 수익을 높이는데 급급해 MRI(자기공명영상촬영장비), CT(컴퓨터단층촬영장비), 유방촬영장비 등을 도입할 때 중고나 성능이 떨어지는 장비를 도입하거나 이상이 생겨도 제때 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고 있는 현상.
실제로 CT의 경우 1억원 미만의 중고제품이 유통되고 있는가 하면 3,4억원에 이르는 신형 장비가 있으며, 유방촬영장비의 경우 2천만에서부터 1억원 이상의 제품이 있다.
대구의 한 진단방사선과 원장은 "환자들이 들고 온 사진 가운데는 판독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같은 의사로서 입장이 난처할 때가 많다"며 "장비 수준에 관계없이 환자에게 동일한 검사비용을 받기 때문에 일부 의료기관들이 값싼 장비를 쓰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같은 병원의 CT 등 촬영장비가 낡거나 기능이 떨어져 환자들이 두 세번씩 촬영하는 불편은 물론 경제적 부담과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은 앞으로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내주부터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에 위탁,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불량 MRI, CT, 유방촬영장비의 품질을 검사키로 했다.
품질관리원에 따르면 의료기관(치과병·의원 제외)과 보건소 등에 설치된 MRI, CT, 유방촬영장치는 1년마다 서류검사를 받고, 3년마다 정밀검사(현지조사)를 받아야 한다.
또 이달 1일 이후 등록하는 신규장비는 등록 후 품질관리원의 현지조사에 의한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검사결과 부적합한 장비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지방자치단체에 통보돼 사용이 중지되며, 건강보험 급여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해룡 품질관리원 사무운영국장은 "그동안 의료기관이 MRI 등 특수의료장비를 경쟁적으로 도입하면서 중고 장비 수입이 늘어 품질이 불량한 장비 문제가 불거져 왔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 의료기관에는 MRI는 580대, CT 1천554대, 유방촬영장비 1천777대가 설치돼 있으며 대구· 경북에는 MRI 50대(대구 28대, 경북 22대), CT 190대(대구 109대, 경북 81대), 유방촬영장비 187대(대구 113대, 경북 74대)가 있다. 김교영 kim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