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대의 업로드(Upload), 네트워크, 감성(感性)을 공략하라'
대한상공회의소는 7일 '한국인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기업의 대응전략'이란 보고서에서 신세대 라이프스타일의 3대 키워드를 제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의 적극적인 경영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구세대와 대별되는 신세대 라이프스타일의 가장 큰 특징으로 업로드 문화를 꼽았다.
상명하복, 가부장적 사고 등을 갖고있는 구세대의 다운로드 문화와 달리 신세대는 업로드 문화를 갖고있어 인터넷 게시판의 리플달기나 월드컵 때의 시청 앞 응원처럼 적극적으로 자기를 표현하는데 익숙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런 문화가 가입자 1천만명이 넘는 미니홈피를 생겨나게 하고, 사소한 잘못이 기업의 경영위기로 이어지게도 한다면서 "소비자들은 기업과 더불어 언제든지 축제를 벌일 준비가 되어있는 만큼 기업은 소비자들이 놀 수 있도록 멍석을 깔아주고 그 과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 다음으로 뚜렷한 특징은 네트워크.
신세대가 구세대보다 단순지식이나 노하우(Know-how)는 떨어질지 모르나 어려운 일이 발생하면 인터넷 검색을 통해 해결방법을 찾고, 지금까지 전혀 모르던 사람들과 연락을 취해 도움을 주고 받는 등 어디서 누구에게 해결방법을 얻을 것인지를 잘 알고 이를 가치창조에 활용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이다.
상의 보고서는 "기업이 이런 특징을 활용해 적절한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만 있다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완전히 다른 차원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기업들의 마인드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는 이성보다 감성을 중시하는 특성을 꼽았다.
전자상거래 초기에는 신세대 소비자들이 이성적인 정보비교를 통해 최적의 가치를 제공하는 브랜드를 구매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로는 비교를 포기하고 유명브랜드를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누구나 인정할 만한 차별화된 장점이 아니라면 평준화된 제품의 물리적 기능이나 편익을 강조해 이성에 호소하는 것 보다는 제품속에 신세대가 공감하고 지향하는 감성을 담아내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한편 이 보고서는 신.구세대는 의식주 성향이 연령별로 차이가 있지만 신구세대가 완전히 다른 의견을 갖고 살아간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하고 "구세대는 변화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뿐이며 신세대 성향은 결국 구세대로 파급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 유통물류팀 임복순 팀장은 "신세대와 구세대의 라이프스타일 차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신세대에서 출발해 구세대로 점차 확산돼 가고 있는 중"이라면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적극적인 대응이 불황 극복의 한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