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난자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로 인간 복제배아 줄기세포를 만든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복제기술이 이번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온 원숭이 체세포 복제의 길을 열었다.
서울대 황우석 교수와 미국 피츠버그대 제럴드 새튼 교수 연구팀은 6일 워싱턴에서 열린 제44차 미국세포생물학회 총회에서 한국 복제기술을 원숭이에 적용, 처음으로 배반포단계(복제배아)까지 성공했다고 밝혔다.
황 교수팀이 난자 핵 제거 및 탈핵난자와 체세포 융합 등을 담당한 이 연구는 황 교수팀의 인간 체세포 복제배아 줄기세포 기술이 인간 외 영장류에도 효과적임을 입증한 것으로 과학저널 '발생생물학(Developmental Biology)' 11일자에도 게재된다.
새튼 교수는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한국 연구진의 복제방법을 적용, 원숭이 체세포 복제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장애물들을 극복했다"며 "이는 치료복제를 통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연구진이 원숭이 체세포 복제에서 배반포단계까지 성공한 것은 지금까지 영장류체세포 복제연구가 8세포 또는 16세포기에 그친 것에 비춰 큰 발전으로 평가된다.
황 교수는 "영장류 복제연구의 권위자인 새튼 박사는 지난해 '사이언스'에 현 동물복제 기술로는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 복제가 불가능하다고 발표했었다"며 "이 연구로 우리의 복제기술이 학문적으로 재검증된 것"이라고 말했다.
새튼 교수는 "이는 한국 연구진의 체세포 복제방법이 인간 외 영장류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준다"며 "이를 통해 윤리적 문제없이 전 임상 실험 등을 할 수 있는 영장류 동물모델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연구진은 복제배아 135개를 대리모 원숭이 25마리에 이식했으나 임신에는 실패, 영장류 개체복제가 생각보다 훨씬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황 교수는 "영장류의 배반포기 복제배아는 정상 수정된 배아보다 세포 수가 적어 착상이 되지 않는 것 같다"며 "이는 현 기술로는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의 개체복제가 불가능함을 강력히 시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