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반입중단 사태로 대구시와 인근 주민들간에 한 바탕 홍역을 치른 방천리 위생 매립장이 최근 시의 '매립장 확장 불가피' 방침을 놓고 또다시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시는 침출수, 매립가스 등 오염물질의 친환경 처리를 강화하고 녹지공간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주민들은 오염만 심화시킬 뿐이라며 확장에 결사반대 입장이다.
시의 매립장 확장 구상과 이에 대한 찬반양론을 살펴본다.
◇왜 방천리 매립장 확장인가?
현재 방천리 매립장에 반입되는 생활쓰레기의 양은 1일 1천400여t. 지난 1990년 첫 매립이 시작될 당시 예측한 수용가능량 1천500만t 가운데 92% 가량의 매립이 이미 완료됐다.
시 폐기물과 관계자는 "지난 95년을 기점으로 종전 1일 4천400여t에 달하던 반입량이 종량제 시행, 음식물 분리수거, 재활용 분리수거 확대 등에 힘입어 현재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며 "그러나 앞으로 2, 3년후에는 매립장 용량이 한계에 달한다"고 확장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렇다면 왜 방천리 매립장인가?
시는 지난 99년 일찌감치 입지선정계획을 공고하고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달성군 옥포면 교항리, 동구 매여동 등 3곳으로 매립장 확장 후보지를 압축했다.
이어 2년간의 현지조사와 주민의견 수렴과정에서 북구 국우동 택지개발 부지내에 건설 계획이던 소각장 추가부지가 주민들의 반대로 2000년 전면 취소되는 등 혐오시설 유입에 대한 주민들의 강한 반발만 샀다.
이런 과정을 거친 시는 결국 '후보 지역 주민반발이 심한데다 방천리에 기반시설 조성이 잘 돼 있다'는 이유로 방천리 매립장을 최종입지로 선정했다.
그러나 지난해 연거푸 가진 매립장 확장계획 주민 설명회, 주민공람 등에도 불구, 서재지역 등 인근주민들의 심한 반발에 부딪혀 매립지 확장을 둘러싼 불신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확장이 완료된 방천리 매립장 규모는 면적으로는 2배(58만5천㎡ →109만2천㎡)
, 수용량으로는 2.6배(922만㎥→2천468만㎥) 가량 증설된다.
시는 단계별 확장공사 계획을 수립, 2006∼2007년까지 1천64억원을 투입, 1단계 확장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확장 마친 매립장, 어떤 모습인가?
대구시는 악취의 주 원인인 침출수와 매립가스의 처리과정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바꾸고 매립장 일대에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등 혐오시설 이미지를 탈피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우선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저장시설(저류조)이 완전 지하화 된다.
침출수 저류조는 우기시 비가 많이 올 경우 침출수를 일시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현재 방천리 매립장내 콘크리트 저장시설은 외부로 노출돼 있어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있다.
침출수는 1일 900t~1천t 가량 발생하고 있으며, 지하관로(4.15km)를 통해 대구시 위생처리장으로 보내지고 있다.
시는 이런 침출수 저류조를 지하화해 악취를 감소시키는 한편 지상에는 잔디 축구장을 건설하고 1개 관로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메탄가스)는 '자연포집 소각'에서 '강제포집'으로 처리방식을 바꿔,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높인다.
현재는 매립지내에 관로를 설치, 지하에서 저절로 새나오는 메탄가스에 불을 붙여 소각하는데 그치고 있지만, 강제포집 방식에서는 메탄가스를 인위적으로 빨아올려 '중질가스'로 정화한 뒤 지역난방공사에 열원으로 공급하게 된다.
관로 수도 현재 90여개에서 180여개로 늘어난다.
시 관계자는 "이는 버려지는 메탄가스를 자원화하자는 취지"라며 "강제포집 방식을 이용, 지하로 새는 메탄가스도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침출수 유출에 따른 토양오염을 차단하기 위해 매립지 바닥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트'를 깔고, 시트가 찢어질 경우에 대비해 '자가복원 차수(遮水)공법'을 새로 적용한다.
탄산계무기물과 칼슘계무기물을 여러 층으로 쌓아 만든 자가복원 차수시설은 무기물질간의 화학반응을 유도, 침출수 유출시 차단막을 형성한다는 것.
또 매립장 하류지역에는 자연형 하천과 소규모 연못, 마을 이주부지에는 8만여평의 수목원을 조성하는 등 시민 휴식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확장 둘러싼 팽팽한 이견
방천리 매립장 확장안을 놓고 대구시와 서재·성서 일부 지역등 인근 주민들은 팽팽한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종진 대구시 환경녹지국장은 "현재 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른데다 타 지역에 새 매립장을 추진할 경우 건설 비용증가와 주민반발이 만만찮아 방천리 매립장을 확장키로 한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매립장의 악취와 침출수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을 위한 각종 지원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해당 주민들은 확장불가 입장이다.
'매립장 확장·연장 반대 서재지역 비상대책위원회' 안상달 자문위원은 "현재 침출수에 대한 부실한 수질검사의 사례만 보더라도 처리시설을 강화하면 침출수·매립가스를 100%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시의 주장은 받아들이기 힘들다"며 "시는 가장 손 쉬운 매립방식을 택하는 대신 분리수거·재활용 촉진 등 쓰레기 정책을 원점에서 재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도원길 달성군 의회 의원도 "시가 지난 15년간 무대책으로 일관해오다 주민들이 확장을 반대하자 뒤늦게 여러가지 '당근책'으로 달래기를 시도하고 있다"며 강한 불신감을 드러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사진: 방천리 쓰레기 매립장 확장 조감도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