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줄었지만 '내년착수' 다소 위안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기획단을 구성해 추진해 온 한방산업 육성계획이 우여곡절 끝에 최근 확정됐다. 당초 대구·경북이 목표로 잡은 청사진보다는 사업 분야와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지만, 내년부터 사업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한방산업이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역할할 수 있는 교두보는 일단 마련된 셈이다.
삼성경제연구소에 용역을 의뢰해 2003년 4월초 세운 대구·경북한방산업 육성계획은 총 4천205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15년까지 한방산업진흥원과 한방산업단지 등 12개 사업을 벌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대구시와 경북도가 확정한 한방산업 육성계획 수정계획은 총사업비 843억원을 들여 6개사업을 벌이는 것으로 대폭 축소됐다.
기획예산처와 KDI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치면서 사업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축소해야 하며 일부 사업 경우 수요가 불확실하므로 추진 자체를 보류하고 중앙정부의 한방사업과 연계해 추진하라는 권고가 나왔기 때문이다. 당초 계획안에 따르면 국비 지원액도 1천941억원이었다가 이번에 398억원으로 깎였다.
이번에 확정된 한방산업 육성계획을 보면 한방산업진흥원과 인삼소재산업화센터, 한약자원개발사업, 생산·가공 선진화 사업, 연구개발(R&D) 사업, 한약재 품질인증 사업 등 6개 사업을 2009년까지 추진하는 것으로 돼 있다. 이 가운데 한약재 품질인증사업만 대구에서 추진되고 나머지 5개사업은 경북에서 추진된다는 것.
KDI의 권고에 따라 당초 대구시와 경북도가 계획한 한방산업단지는 수요가 불확실하므로 추진이 보류됐으며 한방산업진흥원과 한방산업진흥원은 한방산업진흥원으로 통합돼 추진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한방임상센터와 농업기술센터 기능강화 사업, 인력 양성, 국제교류활성화 사업도 취소됐다.
경북도는 예산과 사업 분야가 축소됐지만, 경북지역 시·군 개별 단위사업으로 농림부 등을 통해 추진하는 만큼 한방산업 육성계획 규모가 크게 축소된 것은 아니라며 자위하고 있다. 박승호 경북도 보건환경산림국장은 "전체 예산은 축소됐지만, 당초 예비 타당성조사 비대상 사업이었던 경북지역 사업이 이번 수정계획에 포함됨에 따라 도리어 예산 확보상의 어려움이 해소된 감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경북은 상주한방자원산업화단지 조성(총사업비 520억원)과 약용작물자원개발센터 건립 등 대구·경북과 공동 추진 중인 한방산업 육성계획과 관련이 없는 사업들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한방산업진흥원 설립을 위한 재단 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