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의원 환자 10명중 1명꼴 스테로이드제 처방"

입력 2004-11-19 10:13:51

심평원 병·의원 1만2천962곳 조사

동네의원을 찾는 감기나 편도·인두염 환자 10명중 1명 꼴로 부신피질호르몬(스테로이드)제를 처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올해 2분기 병·의원 1만2천962곳의 스테로이드제 처방 실태 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심평원 민인순 평가실장은 "스테로이드가 감기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경우가 없고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우 감기와 관련한 환자에게 스테로이드를 처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말했다.

스테로이드제는 염증과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피부병·퇴행성관절염·천식 등 여러 병에 사용되지만 잘못 쓰거나 남용하면 무균성골괴사증, 녹내장,백내장, 골절, 유아성장지연 등의 부작용을 동반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4-6월 1만1천952곳의 동네의원을 찾은 감기 환자의 9.3%가 스테로이드 처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병원(4.7%)에 비해 두 배가량 높은 것이다.

동네의원 970곳은 스테로이드를 한번도 처방하지 않았다

경기도 시흥의 S이비인후과는 환자의 97.4%에게 스테로이드를 처방하면서 모든환자에게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다고 진단했다.

서울 L내과는 절반의 감기 환자에게 먹는 알약과 주사제 스테로이드를 동시에 처방했다.

심사평가원은 동네의원들이 ▲종전부터 습관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처방해왔고 ▲일부 의사들이 스테로이드가 염증 억제에 강한 효과가 있다고 믿고 있으며 ▲환자를 더 유치하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처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사협회는 이에 대해 "동네의원이 알레르기 검사를 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를 쓸 수밖에 없고 심평원이 감기로 분류한 질병에는 스테로이드를 쓸 수 있는 급성기관지염과 후두염도 포함돼 있다"면서 "이 정도의 처방률은 별 문제가없다"고 반박했다.

(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