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 제조업체의 3/4분기 실적이 크게 둔화하면서 전분기에 비해 2개 분기째 악화해 성장 동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3분기 중 상장 제조업체의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전분기에 비해 1.6%와 11.4%,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설, 기계, 전기전자, 유통업의 실적이 대폭 악화했으며 삼성그룹과 LG그룹,현대차그룹, 현대중공업의 실적 감소가 두드러졌다.
17일 증권거래소와 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12월 결산법인 중 비교 가능한 544개사(제조업 534개사, 금융업 10개사)의 3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제조업의 매출은135조2천557억원으로 전분기에 비해 1.6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과 경상이익, 순이익은 각각 13조6천283억원과 14조7천915억원, 11조4천24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11.44%와 7.32%, 8.65% 줄어들었다
지난 2분기의 경우 1분기에 비해 매출은 4.4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경상이익, 순이익은 각각 2%, 12.13%, 7.93% 감소했었다.
업종별로는 성장 주력 산업인 건설업과 기계, 전기전자, 운수장비, 비금속광물등의 실적 악화가 현저했다.
건설업은 3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8.78%와 37.51% 각각 급감했고, 기계업도 매출과 순이익이 8.80%와 39.65% 줄었다.
내수업종인 유통업은 매출과 순이익 모두 1.93%와 13.77% 감소했다.
전기·전자업의 매출과 순익 감소폭도 각각 4.78%와 22.62%였고, 비금속광물은 14.05%와 47.18% 매출과 순익이 줄었다.
가장 심각한 업종은 섬유·의복으로 매출과 순익이 8.68%와 98.4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대표적 제조업체인 삼성전자는 3분기 중 매출이 4.24%, 영업이익은 26.54%, 순이익은 14.16% 각각 감소, 제조업 전반의 실적 악화를 주도했다.
반면 금융업은 전분기에 비해 매출은 10조3천681억원으로 2.02%, 영업이익은 1조854억원으로 467.13%, 순이익은 8천426억원으로 604.71% 각각 증가했다.
기업들이 투자 대신 번 돈으로 빚 갚는데 주력하면서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92.92%로 작년말에 비해 7.96%포인트 낮아져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편 12월 결산 코스닥 등록법인 701개사의 3분기 실적은 매출액의 경우 12조9천435억원으로 2분기에 비해 1.3% 감소해 향후 실적 악화를 예고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7천166억원과 4천605억원으로 각각 1.1%, 1.9% 증가하는데 그쳤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