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29년 8월 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팔레스타인 상인 압델 라우프 알-쿠드와 알-후세이니의 5남으로 출생.
▲1933년= 어머니 자와 사망 후 사촌과 살기 위해 동생 파디와 함께 이스라엘 예루살렘으로 보내짐.
▲1949년= 카이로로 복귀해 팔레스타인 학생연맹 결성.
▲1956년 8월=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 학생회의 참석, 팔레스타인 회원권 확보.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팔레스타인 머릿수건(케피예) 첫 착용.
▲1965년 1월 1일= 파타 게릴라 단체 결성. 이틀 후 갈릴리 운하 폭파 위한 이스라엘에 대한 첫 공격 감행했으나 실패.
▲1968년 4월 21일= 이스라엘군의 요르단 카라메흐 소재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기지 공격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었으나, 팔레스타인인들의 대규모 PLO 합류로 정치적 승리 거둠.
▲1969년 2월 4일= PLO 의장 등극으로 팔레스타인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 마련.
▲1974년 11월 13일= 유엔 총회서 연설.
▲1982년 6월 6일= 레바논 소재 PLO 기지에 대한 이스라엘 침공으로 추종자들과 함께 베이루트로 피신.
▲1985년 10월 1일= 튀니지 튀니스 소재 PLO 본부에 대한 이스라엘군 공격으로 사망 위기 겨우 모면.
▲1988년 4월 16일= 아라파트의 군사 총책 칼릴 알-와지르(일명 아부 지하드) 튀니스서 피살.
▲1988년 12월 12일= 이스라엘과 공존 원칙 수용. 테러 반대 천명.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시 사담 후세인 지지 선언으로 팔레스타인 고립 자초.
▲1991년 11월= 여비서 수하 알타위(28)와 튀니스서 비밀 결혼. 1995년 7월 24일 파리서 딸 자와 얻음.
▲1992년 4월 7일= 리비아 사막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중상. 조종사 2명과 기술자 등 사망.
▲1993년 9월 13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협정 조인. 가자지구 대부분과 요르단강 서안지구 27%에 대한 통제권 확보.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미국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1994년 7월 1일= 망명 생활 26년만에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영토로 화려한 복귀.
▲1994년 12월 10일= 이스라엘의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 등과 함께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
▲1995년 11월 4일= 라빈 이스라엘 총리, 텔아비브서 극우파 유대인 청년에 의해 암살.
▲1995년 11월 9일= 라빈 총리 부인 위로차 첫 이스라엘 비밀 방문.
▲1996년 1월 20일= 팔레스타인 첫 선거서 자치정부 수반 선출.
▲1997년 1월 15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 80%에서의 이스라엘군 철군 협정 조인.
▲1998년 10월 23일= 미 메릴랜드주(州) 와이 강에서 요르단강 서안지구 평화방안 합의.
▲2000년 7월 11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주재로 에후드 바라크 이스라엘 총리와 캠프 데이비드 대통령 별장에서 9일간 평화방안 논의. 합의 도출에는 실패.
▲2000년 9월 28일= 이스라엘 야당 지도자이던 아리엘 샤론의 예루살렘 소재 유대교-이슬람교 공동 성지 방문으로 팔레스타인 2차 봉기 촉발.
▲2001년 12월 3일= 팔레스타인측 3차례 폭탄 테러 직후 이스라엘군이 아라파트 헬기 3대 파괴. 아라파트 요르단강 서안지구 라말라에 사실상 구금.
▲2002년 1월 18일= 이스라엘 탱크 2대와 장갑차 등 아라파트의 라말라 본부 앞 배치. 3차례의 이스라엘군 공격으로 아라파트 집무실 제외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건물 대부분 파괴.
▲2002년 3월 27일= 29명의 사망자를 낸 팔레스타인 자살 폭탄 공격으로 이스라엘군의 요르단강 서안지구 침공 야기.
▲2002년 3월 29일= 이스라엘 내각, 아라파트를 '적'으로 규정. 아라파트 집무실을 포함한 라말라 팔레스타인 본부에 대한 이스라엘군 포위 강화.
▲2002년 4월 2일=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영원히 망명하라는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의 요구에 맞서 요르단강 서안지구를 떠나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선언.
▲2002년 6월 24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이스라엘과 더불어 아라파트 수반하야 촉구.
▲2003년 4월 29일= 팔레스타인 의회, 아라파트 측근인 마흐무드 압바스를 초대 총리로 지명. 아라파트를 밀어내려는 미국과 이스라엘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풀이됨.
▲2003년 6월 4일= 부시-샤론, 아라파트 배제한 채 2005년 까지 팔레스타인 독립국 창설을 골자로 하는 '중동 평화 로드맵' 추진.
▲2003년 9월 6일= 아라파트와 권력 투쟁으로 권한 약화된 압바스 총리 사임, 아흐메드 쿠라이 당시 의회 의장이 총리직 승계.
▲2003년 10월 21일= 의료진, 아라파트 담석증 진단.
▲2004년 10월 27일= 팔레스타인측, 아라파트 '위독' 상태 확인.
▲2004년 10월 29일= 3년 가까이 연금상태에 놓였던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에서 요르단을 거쳐 프랑스 페르시 군병원으로 이송.
▲2004년 11월 11일= 아라파트 사망 공식 발표.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