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졌다 하면 장기화…"시는 없다"

입력 2004-10-30 11:39:20

버스료·지하철파업에 매립장까지 '대구시 무기력'

'터지는 현안, 꼬이는 대구시정.'

민선 3기 후반을 맞은 대구시가 쌓여가는 현안들로 휘청이고 있다.

지하철 파업에 이은 쓰레기 매립장 반입 중단 등 악재들이 잇따르지만 별다른 해결책을 찾지 못해 시정 추진력이 떨어지고 침체한 지역사회가 더 혼란스런 분위기다.

대구시는 30일로 달성군 방천리 쓰레기 매립장에 반입이 6일째 막히면서 29일 긴급 지역기관장 대책회의를 가졌지만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해 사태 장기화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7월부터 88일 간의 국내 공공분야 최장기 파업을 기록한 대구지하철공사 노조도 28일 부분파업에 들어간 데 이어 다음달 노동계 총파업에 참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또다시 진통이 예상된다.

중구 중앙지하상가 재개발 사업은 입주상인들과 시간의 해묵은 갈등이 5년째 이어지고 있으며, 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 묘역조성 사업도 부지 선정을 둘러싼 갈등으로 표류 중이다.

지난 21일부터 단행한 대구 시내버스 요금 인상도 시민단체가 시민서명을 받아 다음달 건설교통부에 주민감사를 청구할 방침이어서 불씨가 꺼지지 않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들은 "쌓인 난제들이 많지만 어느 것 하나 시원한 해결책을 찾을 수 없다"며 "각종 현안들로 업무 분위기가 가라앉고 신사업 구상 등에서도 추진력이 떨어 질 수밖에 없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 등에서는 대구시의 조정력의 부족과 현안사태 대처미숙 등 행정처리 방법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시가 현안이 발생할 때마다 적극적인 대안 제시를 통한 해결노력을 보이지 않아 시정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장기성 민원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

대구 시민단체의 한 간부는 "지하철 파업이나 쓰레기 반입 중단사태 등 현안이 발생할 때마다 시가 시간만 보낼 뿐 별다른 해결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유독 대구만 현안이 터지면 장기성 민원이 되는 것도 시정 시스템의 문제"라고 밝혔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사진:지난 27일 오전 대구 달성군 방천리 위생매립장에서 경찰이 쓰레기매립장 확장 반대를 주장하며 농성중인 주민들을 강제 해산시키자 이에 반발한 주민들이 길바닥에 앉아 고함을 치고 있다. 박노익기자 noi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