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백신조차 제때 공급 못하나

입력 2004-10-27 11:06:25

독감 백신 공공 공급분이 해마다 늑장 조달에다 부족 사태를 되풀이하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다. 독감 예방 접종은 노약자뿐 아니라 어느새 전체 국민들의 겨울나기의 필수 전제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가 이 같은 기본적 국민 건강 대책조차 원활하게 조장하지 못한대서야 어떤 보건행정인들 제대로 할 수 있다 할 것인가.

자치단체에서 자체 구입하던 독감백신을 지난해부터 조달청에서 전담키로 한 것은 독감 예방 접종을 국민적 건강 사업으로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그런데 일괄 공급 시행이후에 수급상황이 더 나빠져 파동을 빚는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백신 제조업자들의 담합 때문이라는 핑계도 말이 안된다. 업자들이 납품단가를 올리기 위해 담합해서 세차례나 유찰을 시켰다지만, 그런 이유로 공급시기가 늦잡쳐질 정도라면 사전에 대책을 마련했어야 했다. 조달청은 업자들의 농간에 대처할 능력을 갖추고 있는 전문가 집단 아닌가. 결국 올릴만큼 올려서 낙찰 됐다는데, 작년에 당하고 또 당한 것은 무사안일 행정의 산물이다. 필요하다면 외국서 수입을 해서라도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늦잡치다 보니 유효한 접종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 질병관리본부는 대구 경북에 유사독감환자가 벌써 200여명 발생했다고 밝힌바 있고, 살인독감 주기설을 걱정하고 있다. 하루 빨리 충분량을 일선에 공급해서 가능한한 많은 국민들이 염가에 접종을 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함께 관계 당국은 수입백신 효과 논란을 명쾌히 매듭짓고 지나치게 비싸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민간 의료기관의 백신 접종료 실태를 파악해서 적정가를 받도록 행정 지도를 강화하기 바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