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통과 방식 공청회 열기 후끈

입력 2004-10-27 10:01:10

"대구미래 생각을""요식행위 아닌가"

"미리 정해 놓고 요식행위로 공청회를 하는 것 아니냐." "이젠 환경이 바뀐 만큼 대구의 장래를 위해서는 지상화를 해야 한다.

"

26일 오후 대구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통과 방안 공청회는 지상화 찬반주민들의 팽팽한 공방이 오가는 등 뜨겁게 달아 오른 가운데 3시간 동안 김갑수 영남대교수의 주제발표와 토론 및 질의 순으로 진행됐다.

공청회를 주최한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통과 방안 심의위원회는 이날 표출된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들을 반영, 주민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대구시와 관계당국에 건의키로 했다.

이날 8명의 토론자들 의견제시에 이어 참석주민들의 불만과 건의도 쏟아졌다.

▲공장표 영남대교수=과거 지하화를 주장했으나 그동안 잘못된 방향으로 졸속 결정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젠 우물 안 개구리식으로 이야기하지 말고 중립적으로 결정할 때다.

도심통과는 지상화가 옳다고 여겨 심의위원회에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강황 대구시의원=지하화 방안은 정치권으로부터 나왔으며 안전문제 등으로 지상화 문제가 대두됐으며 철길 주변 정비조건으로 지상화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욕을 먹더라도 지상화를 추진하는 것이 옳은 것 같다.

▲장상수 대구동구의회 부의장=공청회는 졸속적으로 이뤄졌으며 지상화를 결정해 놓고 하는 요식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백년대계를 생각해 과거 지하화를 결정했는데 이번 토론회는 공정성을 결여했다.

▲정인열 매일신문 부장=지상화 추진시 철길 주변 주민들의 소음진동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해야 한다.

또 과거 지하화를 결정하면서 이뤄진 대구시 동구 신암3동 뉴대구아파트 일대의 도시계획결정에 따라 주민들이 10여년 간 재산권 행사를 못한 만큼 이에 대한 배려와 대책이 필요하다.

▲정기조 대구시의원=상황이 달라진 만큼 새로운 시각에서 도심 통과 방식을 결정해야 하며 대구발전을 위한 중요한 시기이며 지상화를 추진해야 한다.

지하화로 지은 일본 우에노역 경우 완벽한 방재시설과 비상시설에도 불구, 지하화 건설에 대해 아직도 불안해하고 후회하고 있다.

▲최현복 대구흥사단 사무처장=과거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 지하화 관철을 위해 노력해 왔으나 지금은 철길 주변을 '죽음의 도시'가 아닌 '살아있는 도시'로 만들 수 있고 철길 주변 개발이란 기회가 있다.

지상화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우리 모두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최종수 대구TBC 정치행정팀장=대구발전의 장기발전 전략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장기적 안목에서 논의하고 철길 주변 개발과 함께 주민들의 이해를 구하도록 해야 한다.

철길 주변 정비와 철로 개발 주체 및 관리의 주체가 누가 되는가도 중요하다.

▲이종달 영남대교수=최근 일본의 니가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에서 보듯이 기술력이 최고인데도 사고 발생시 문제가 많다.

일본은 지하 60m에 고속철도를 건설하려는 계획을 세워놓은 지 20년이 지나도록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지상화로 철길주변을 정비, 광역철도망으로 개발해야 한다.

▲참석주민들(10명)=지상화에 따른 피해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지하화가 이뤄져야 한다.

지하화로 결정하고 원점에서 지상화를 결정하는 것은 행정의 공신력 문제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여론수렴도 않고 지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심의위원회의 전문성이 떨어지는데 단기간에 13명의 위원이 지상화를 결정하는 것이 타당한가. 지상화를 할 경우 철길 주변 주민들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

철길 주변 노점상들의 생존권에 대해서도 보상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전자파에 대해서도 대책을 세워야 한다.

좀더 신중하게 연구해서 주민들에게 믿음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보상을 철저히 해 주겠다는 약속을 해야 한다.

주민들이 피해를 보는 국책사업이 되는 것은 아닌가. 철길주변이 어둡고 우범화되고 있다.

철길 주변 정비시 녹지대 설치와 도로 개설 등의 약속이 확실하게 이뤄지는지 확인해 달라. 권성훈기자 cdrom@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