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휴대전화업계가 생산, 판매하는 단말기 수가 내년 세계 휴대전화시장의 약 3분의 1을 차지할 전망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계열 등 휴대전화업계 '빅3'가 내년 국내외시장에 공급하는 단말기 수는 최소 2억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VK와 이노스트림, 벨웨이브, 세원텔레콤, SK텔레텍 등 중견업체들의 단말기 공급물량을 합칠 경우 국산 단말기 수는 최소 2억1천만대로, 약 7억대로 추정되는 내년 세계시장의 30%선을 차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세계 3위 휴대전화업체인 삼성전자는 올 한해 약 8천600만대의 단말기를 공급하는데 이어 내년에도 돌발변수가 없는 한 최소 1억대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북미와 유럽 등 주요 해외시장에서 노키아, 모토로라 등 주요 단말기업체들과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삼성전자의 단말기 공급물량도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LG전자는 올해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 단말기 공급확대에 힘입어 4천300만~4천600만대를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내년에도 이런 추세가 지속돼 최소한 7천만대의 휴대전화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했다.
LG전자는 특히 홍콩의 세계적인 통신사업자인 허친스와 프랑스 오렌지에 이어 내년엔 영국 보다폰과 독일 T모바일 등 다른 통신사업자에도 단말기 공급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팬택계열은 올해 전 세계시장에 약 2천만대의 단말기를 판매한 데 이어 내년에도 공급물량을 대폭 확대, 금년보다 최소 1천만대 늘어난 3천만대의 휴대전화를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팬택 관계자는 특히 러시아 등 신흥시장 공략에 주력하는 한편 유럽 등지의 WCD MA 단말기 시장에도 본격 진출, 단말기 공급물량을 크게 늘려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유럽 통화방식인 GSM단말기 전문업체 이노스트림 200만~300만대, SK텔레텍 150만대, VK 300만~400만대 등 다른 중견업체들도 내년도 단말기 판매대수를 크게 늘려잡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 휴대전화시장은 해외시장 여건을 감안할 경우 금년보다 약 10% 확대된 7억대에 달할 전망"이라면서 "이 중 국내업체들은 약 3분의 1 가량을 공급, 휴대전화 강국의 이미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