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기록보존소 설치는 "기록보존의 지방자치"

입력 2004-10-14 13:53:20

"지방에서 생산된 각종 공공기록을 관리하는 '지방기록보존소'를 설치해 기록보존의 지방자치를 실현해야 한다.

"

대구·경북 지방기록보존소 설립 운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지방분권과 기록보존'을 주제로 한 학술대회가 대구에서 열리게 돼 주목을 끌고 있다.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과 한국국가기록연구원이 15일 오후 2시부터 경북대 교수회의실에서 개최하는 이번 학술대회에는 대학교수 및 공무원들이 대거 참여해 기록보존의 지방자치를 실현하는 방안 등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나눈다.

'지방기록보존소 설치를 위한 정책과제'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는 조기현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주최 측에 미리 보내온 논문을 통해 지방기록보존소 설치의 당위성을 적극 주장했다.

조 부시장은 "현행 '기록관리법'은 각 기초자치단체에 의무적으로 '자료관'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광역자치단체에는 '기록보존소'를 설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며 "이러한 기록관리체제의 수립은 소중한 경험을 후대에게 역사적 유산으로 물려주고 행정과 정책의 투명성 보장 및 효율을 제고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부시장은 "지방기록보존소는 지역혁신시스템에서 가장 소중한 정보와 문화의 축적 및 공급기관으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함께, 지역과 관련되는 기록의 생산, 수집, 보존, 열람에 대한 통제권이 지자체에 귀속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현수 경북대 교수는 '지방기록보존소 설치 운동과 대학의 역할' 논문을 통해 대학이 기록보존의 지방자치 실현에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 교수는 "대학이 지방기록보존소 설치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설득해내고, 역사문화센터로서의 지방기록보존소의 위상을 확립하며, 학계와 공공기관 및 시민사회의 협력을 토대로 지방기록보존소 설치 운동을 이끌어가는 견인차 역할을 해야 한다"며 "대학은 기록보존전문가를 양성하고 그 교육수준의 표준화 및 질적 향상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와 관련된 제도적 문제'(김형국 국가기록원 학예연구관) '경기도 지방기록보존소 설치운동의 경험과 교훈'(안병우 한신대 교수) '지방기록보존소와 지방사연구'(홍성덕 전북대박물관 학예연구관) 등의 논문이 발표되고 남권희 경북대 교수, 김경남 국가기록원 교수, 이주현 한남대 교수, 이종흡 경남대 교수 등이 종합토론을 벌인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