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주제작사들이 이른바 '대박' 드라마를 제작하고도 남는 게 없는 반면 방송사들은 앉아서 떼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방송광고공사가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소속 이경숙 열린우리당 의원에게 9일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톱스타 비와 송혜교를 전면에 내세워 인기를 끈 KBS 드라마 '풀하우스'가 광고 순수입으로 36억2천여만원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금액은 광고 총수입 43억8천여만원 중에서 방송발전기금 1억5천만원(광고총액의 3.5%), 방송광고공사 운영비 6억1천여만원(광고 총액의 14%)을 제외한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방송사들이 외주 제작사에게 턱없이 낮은 수준의 제작비를 지불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KBS는 김종학프로덕션에 회당 9천800만원의 제작비를 지불했다.
해외 판권수익은 6:4 비율로 나눈다.
'6'은 KBS다.
'풀하우스'를 제작한 김종학프로덕션의 박창식 제작이사는 "해외 로케이션뿐 아니라 제작발표회에 들어간 비용, 세트장 건립 비용까지 모두 우리가 다 지불했다"며 "PPL이 문제되니 되도록 자제하라는 권고도 받아 들였다.
외주제작사의 주요 수입원인 PPL을 포기하고 드라마를 만들어 볼테니 그렇다면 제작사가 어떻게 되나 한번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또한 김종학 프로덕션측은 상하이 푸켓 등 해외 촬영으로 제작비가 엄청나게 불어났지만 "KBS가 해외 촬영에 소요되는 제작비를 충분히 지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BS는 '무리하게 지출한 뒤 그만큼 방송국에 제작비 지원을 요구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다른 방송사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SBS 드라마 '파리의 연인'도 광고순수입으로 45억3천여만원을 벌어들였다.
여기에 제작사로 준 회당 8천여만원의 제작비를 감안하면 SBS는 이 드라마 한 편으로 29억원의 순수익을 얻은 셈이다.
현 방송법에는 KBS는 전체 편성의 30% 이상, MBC와 SBS는 전체 편성의 35%이상을 외주제작 프로그램으로 편성하도록 돼 있다.
장성현기자 jacksou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