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원자력연구소의 농축우라늄 분리에 이어 1982년 플루토늄 추출 사실이 또 불거져 국제사회의 미묘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핵무기 개발과는 무관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국제원자력기구(IAEA) 규정에 위배된다는 사실이 논란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사전 신고를 빠뜨렸고, 플루토늄 추출보고는 '사용한 폐연료봉'을 '사용하지 않은 새 연료봉'으로 잘못 써 의혹의 소지를 남겼다.
이와 관련해 국제사회에서는 여러 반응들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유엔 안보리 회부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제재'가 아닌 '온건한 질책' 선의 조치를 예상하고 있다.
중국은 4차 6자 회담에의 '영향'을 우려하고 핵 의혹의 말끔한 해소를 기대했다.
일본은 '한국의 핵 연구는 부적절한 것'이라며 IAEA의 엄격한 사찰을 촉구하는 등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과거의 일들이지만 우리의 핵 투명성을 의심케 하는 악재임이 분명하다.
북한에 트집거리를 제공해 6자 회담에서의 입지가 나빠질 수밖에 없게 됐다.
장기적으로는 핵 산업 기반을 위축시켜 적지 않은 국익 손실이 우려된다.
핵의 평화적 사용에 대한 신뢰를 잃음으로써 향후의 핵 연구나 핵 산업 기반 확충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정부는 핵 의혹을 말끔히 씻어내 이번 사태가 국가운영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IAEA 조사에 최대한 성의를 보이고, 미국 일본 중국 등과의 관계를 활성화시켜 과거의 핵 연구가 과장 해석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대응을 소홀히할 경우 아니 땐 굴뚝에 연기가 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핵 투명성 확보를 위한 한국의 의지와 구체적 실천계획을 밝혀둘 필요도 있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