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광장-스타를 키우자

입력 2004-09-08 16:56:09

왕이나 대통령은 하늘이 점지해준다고

이야기들 하지만 오늘날의 수많은 스타

들은 자신의 노력으로 혹은 스타메이커

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스타가 필요하고 각광받는 이유는 이들

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자신의 꿈을 이룬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어려운 환경에서 여자복싱 세계챔피언

이 된 스타도 있고, 대기업의 잘나가는

CEO로서 소위 돈 되는 스타도 있다. 우

리가 스타에 열광하고 좋아하는 이유는

이들이 가진 천재성보다는 이들의 노력

과 성공의 이면에는 아무나 이룰 수 없는

무엇이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왜 우리 사회에는 연예계나 스

포츠 스타는 많지만 이공계나 전문분야

에는 적은 것일까? 정치인에게는 기대도

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주장이 가능

하지만 교육의 전문성 부족, 지나친 평등

주의, 연공서열식 사회구조, 순환보직제

의 문제점 등을 들고 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은 세

계 1위의 갑부로서 부러움을 사기도 하지

만 세계 제일의 기부자이기도 하다. 빌

게이츠는 120조 원의 개인재산을 소유하

고 있어 1초당 약 36만 원을 벌고 있는

셈이다. 만약 그가 길거리에 떨어진 동전

을 줍는다면 약 4초가 걸리니까 144만

원을 낭비하는 셈이다. 그가 진정으로 존

경받는 이유는, 부를 가졌다는 그 자체보

다도 부에 걸맞은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하고, 하버드대학을 중퇴했지만 그

가 쓴 책'생각의 속도'는 디지털 시대를

잘 저술해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스타는 개인만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

다. 일본의 도요타자동차회사는 도요타

라는 그 이름 자체만으로도 명품의 반열

에 올랐다. 도요타가 만드는 거의 모든자동차는 히트작이 되었고 세계적인 자

동차 판매불황과 일본의 10년 이상 장기

불황에도 도요타자동차만은 흑자를 내는

몇 안 되는 일본기업이다. 그 이유는 한

번 해 보자는 기업문화, 일본의 집단주의

적 성향을 잘 접목시킨 직원들의 사내학

습조직, 누구나 하자나 불량품이 발견되

면 라인전체를 스톱시킬 수 있는 권한,

제로 제고시스템 등이다. 우리나라 기업

도 이를 많이 카피해서 도입했지만 성공

한 기업은 많지 않다. 이는 도요타의 종

신고용제 등의 인간중심경영과 하청업체

를 같이 키워나가고, 작업 준비 시간을 2

시간에서 3분으로 줄이고, 필요한 만큼만

부품을 납품받음으로써 창고비용 등 경

비를 절감하고, 간판작업이라는 것을 통

해 첫 공정이 100% 완수돼야 다음 공정

으로 넘겨 작업을 시작하고, 자동차 금형

도 외주를 주기보다 자체적으로 제작하

여 해결함으로써 현장작업자와 연구인력

간의 인식격차를 없애버렸다. 이것이 바

로 도요타의 인력을 퇴직 후에도 서로 모셔가려는 이유인 것이다.스타벅스 커피가 15년 만에 세계 36개국에 8천여 개의 직영체인점을 낼 수 있

게 된 것도 하워드 슐츠라는 다소 엉뚱한

스타 CEO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커피

한잔에 로맨스를 담아'라는 다소 엉뚱한

슬로건으로 실용주의적인 미국시장에서

성공한 이유는 커피원두 가격이 폭등해

도 최고품질의 커피를 고객에게 제공하

고, 쓴 원두커피를 고집하던 미국인들에

게 에스프레소와 카푸치노를 소개한 것

도 그의 공이다. 또한 직원 모두에게 연

봉의 10%에 해당하는 스톡옵션을 제공

하고 임시직에게도 최고의 보수와 의료

보험과 연금혜택을 부여하여 이직률을

줄였다.

우리도 지역에서부터 스타 CEO와 스

타기업, 스타공무원, 스타전문인을 키우

자. 이들에게 공정한 평가와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스타에 걸맞은 대우를 해주자.

지역의 벤처나 소위 잘나가는 기업에게 더

많은 지원과 다소간 혜택을 부여하고 대신

이들이 성공했을 때 지역에 봉사하고 노블

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할 수 있는 환경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덕성을 갖출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자.

권오상 상주대 교수·행정학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