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공 직장 일부폐쇄 검토

입력 2004-09-06 12:41:47

대구지하철 파업이 6일로 48일째를 맞았으나 노사간의 대립이 갈수록 심화되면서 '직장폐쇄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 측은 직장폐쇄가 '협상'의 또 다른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 공식거론을 삼가고 있지만 최근 폭력사태가 잇따르면서 내부적으로 '직장폐쇄'를 신중히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노조의 폭력에 대한 법적으로 허용되는 사 측의 마지막 방어수단은 직장폐쇄 밖에 없는 만큼 이런 사태가 계속 이어질 경우 이를 검토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만약 직장폐쇄 조치를 한다면 월배차량기지에 대한 부분 직장폐쇄 조치 정도 수준일 뿐 운행 중단 등 전면적인 직장폐쇄는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민들에게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할때 쉽사리 결정을 내리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특히 월배기지에 대한 직장폐쇄 조치가 취해질 경우 공사 본사와 안심 차량기지에 대해선 시설물 보호 요청도 함께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결국은 경찰 투입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직장폐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직장폐쇄 조치에 노조가 응하지 않을 경우 공권력 투입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 과정서 충돌 등 불상사가 발생하는 등 최악 상황으로 치달을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또 노조의 강경투쟁을 부추기게 되는 등 사태가 더욱 악화될 수 있고, 현재 지하철 운행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 상황인 만큼 시기적인 문제에서도 부담을 가질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만약 사측이 직장폐쇄 조치를 취한다면 이에 대한 대응책은 논의해봐야 하겠지만 사태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사 측도 잘 아는 만큼 쉽게 직장폐쇄를 결정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노조는 공사 본사 및 시청 앞을 비롯, 손동식 사장 등 사 측의 교섭위원 집 앞에서의 산발적인 집회 및 선전전을 갖고 대화로써의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한편 공사 측의 고소 취하 및 직위해제 철회 등을 요구할 예정이다.

또 오는 8일엔 상경투쟁을 전개, 한나라당과 중앙정부에서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 줄 것을 촉구하고, 대구지역 12명 한나라당 지역구 의원에게 면담을 요청할 계획이다.

대구지방노동청 관계자는 "이번 주가 직장폐쇄 여부의 고비가 될 가능성이 높으나 지금이라도 노사교섭을 통해서 현안 문제를 해결하도록 적극 나서는 게 사태해결의 최선의 방법일 것"이라며 "워낙 민감한 사항인 탓에 결정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