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위원회가 현재 20% 수준인 지방기업의 등록 비중을 40%까지 늘린다는 방침을 천명함에 따라 대구경북 지역 우수 중소.벤처기업의 코스닥 진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허노중(許魯仲) 코스닥위원회 위원장은 2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방침을 실현하기 위해 이달 중 지방기업 전담창구를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담당직원을 파견하는 등 지방기업들과의 접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허 위원장은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등록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고려치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지방기업이라고 해서 객관적인 등록조건을 낮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허 위원장은 그러나 "수도권 기업의 경우 특정 중소벤처 기업에 대한 정보가 극히 제한적이지만, 지방기업은 지역사회의 특성상 그 지역 전문가들이 CEO(최고경영자)의 역량 및 장단점 등에 대해 상세히 알고 있다"며 코스닥 심사과정에서 지역 전문가들을 참여시킴으로써 보다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그동안 코스닥 심사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짐에 따라 지방기업이라는 사실 자체만으로 부당한 대우를 경험하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면서 "코스닥 등록 과정에서 객관적 조건 못지않게 질적 심사의 중요성이 높은 만큼 100억~200억원 이상 매출 규모를 갖춘 우량 중소.벤처 기업들에게는 희소식"이라는 의견이다.
또 지역 벤처기업인들은 "코스닥 등록 자체보다 등록 이후 시장에서 제대로 평가받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도 "지방기업이기 때문에 겪는 부당한 차별을 해소한다는 측면에서 코스닥위원회의 방침을 환영한다"는 반응이다.
올해 8월 현재 코스닥법인 884개 사 가운데 지방기업은 22.9%인 202개 사이며, 이중 대구.경북 58개 사, 부산.경남 66개 사, 대전.충남 41개 사, 충북 22개 사, 전남.북 및 광주 12개 사, 강원 3개 사로 파악됐다.
한편 코스닥위원회와 대구테크노파크는 이날 오후 인터불고호텔에서 대구경북의 대표적 벤처기업 25개사의 CEO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균형발전과 코스닥의 역할' 및 '코스닥 등록희망 기업 CEO(최고경영자)를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사진: 2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있은 코스닥위원회 기자회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