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사 논쟁이 결국 우리가 예상한 바 '참으로 걱정스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
여당은 신기남 전 의장이 마치 억울한 희생양인 것처럼 읍참마속.살신성인의 표현까지 써가며 과거청산의 대공세에 나설 자세다.
'박근혜 죽이기'의 위기감에 빠진 한나라당은 공격이 최대의 방어인양 친일.친북에 5.16의 공과(功過)까지 다 따져보자며 반격을 개시했다.
총만 안들었달 뿐이지 이건 전쟁이다.
전쟁은 안된다.
'차라리 과거사 몽땅 규명'을 요구한 박근혜 대표의 제안에 청와대는 "전적으로 국회서 논의하고 결정할 문제"라며 발을 빼고 있다.
정작 과거사 불씨는 노무현 대통령이 던져놓고 그 혼란과 정쟁의 책임은 전적으로 국회에 있다며 뒤로 빠지긴가? 본란은 지금이야말로 노 대통령과 박 대표의 영수회담이 절실한 때라고 제안한다.
본란은 밑도 끝도 없는 과거규명, 중립성이 담보되지 않은 조사엔 반대한다.
'정쟁화'가 불가피하다.
또 연좌죄 망령의 부활도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신 의장의 낙마(落馬)가 무슨 의거(義擧)인양 하는 여당의 태도는 잘못이다.
그는 제 문제는 덮고 남의 허물만 캐겠다고 한 그 공인(公人)으로서의 처신과 위선때문에 스스로 무너진 것이다.
야당도 이런 식의 과거캐기에 반대해 놓고 뒤늦게 '온 마당 다 뒤집자'는 식은 문제 있다.
'박정희 업보'에 대한 두려움인가.
그래도 국회가 일정부분 과거사 조사에 합의해 보겠다면 그 전제는 정치성이 완전히 배제된 중립기관, 그 구성분자는 학계.민간단체의 전문적 인사로 되는 것이 마땅하다.
이건 박 대표의 주장이 맞다.
거듭하거니와 과거사의 전면전은 안된다.
엊그제 야4당의 경제 대토론회에서 한 중소기업인은 분노하듯 호소했다.
"서로 싸울 칼 있으면 녹여서 쟁기를 만들라"고. 농담으로 들리는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