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만 R&D 특구지정시 "대구.광주도 특구 지정해야"

입력 2004-08-20 14:48:12

정부가 대덕만 연구개발(R&D)특구로 지정할 경우 중추관리 및 연구개발 기능이 신규 독점된 지역이 탄생해 인근인 대구와 광주는 상태적으로 쇠퇴할 것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토연구원은 최근 개최된 '내륙지방 거점도시 삼각테크노벨트 구축방안 연구' 자문회의에서 "대구, 광주 등 지방대도시는 지역인재 유출, 굴뚝산업의 한계, 공장부지난 등으로 허덕여 R&D에 기초한 지식기반산업을 육성하지 않고는 회생이 불가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대전, 대구, 광주의 주요 지표를 분석한 결과 "대전은 우수 두뇌의 유입이 두드러지나 대구와 광주는 우수 두뇌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며 "고학력 인구비중은 높으나 경제역량이 취약하고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것은 연구역량을 기초로 한 지식기반산업이 발달하지 못한 탓"이라고 풀이했다.

연구원은 이어 "우수 두뇌의 지역정착과 첨단기업의 입지를 유인하기 위해서는 공공연구기관이나 전문연구시설 등 R&D 혁신 환경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특히 "인천 부산은 경제특구, 대전(충청권)은 행정수도와 R&D특구로 발전하나 광주와 대구는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수단이 없다"면서 "통합적 역동적 균형을 위한 기회 균등보장 차원에서 R&D특구로 지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대구와 광주를 R&D특구에 포함시킨 것은 참여정부의 지역 과학기술 관련 주요 공약사항 중 하나이기 때문"이라며 △대전은 연구단지에서 출발해 쉽게 혁신클러스터화 할 수 있는 지역 △대구는 초기 조성단계부터 연구기능을 유치함으로써 혁신클러스터화 할 수 있는 지역 △광주는 생산기능에서 출발해 연구기능을 유치함으로써 혁신클러스터화 할 수 있는 지역으로 분류했다.

이해봉.강재섭.김석준.서상기 의원 등 국회 과기정위 소속 지역 의원들은 "대구는 초기 조성단계부터 연구기능과 생산기능이 상호 연계된 새로운 개념의 연구개발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함으로써 연구와 생산기능의 연계부족과 연구영역 간 융합연구 비활성화 등 국내 기존 연구단지의 문제점이 해결된다"며 "대구, 광주를 R&D특구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