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과거사 조사 공감대 형성

입력 2004-08-20 10:32:38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19일 과거사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원칙에 공감했다. 그러나, 조사기구 성격과 대상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 작업의 전도가 지극히 불투명할 것임을 예고한 대목이다.

열린우리당 김영춘(金榮春), 한나라당 남경필(南景弼)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 운영위 소회의실에서 회담을 갖고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전격 제안한 '포괄적인 과거사 규명'에 공감했다.

김 부대표는 "박 대표가 조사 대상과 범위, 나아가 주제까지 포함해서 더 넓히자는 이야기를 했는데, 과연 구부러진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과거사 정리의 취지에 비춰볼 때 바람직한 해법인지 의문이 있으나 일단은 전향적으로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양당간 공감은 대화가 시작되자마자 틀어졌다. 김 부대표는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기구 △국회내 과거사특위를 동시에 구성하는 2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반면 남 부대표는 국회는 지원만 하고 중립적인 학자 등 객관적 인사들이 과거사조사위를 만들자고 맞섰다.

조사대상을 두고서도 "친일과 국가권력에 의한 부당한 인권침해 사례 등을 포괄적으로 규명해야 한다(김)"와 "친일, 유신독재 뿐만 아니라 냉전시대 친북활동, 산업화과정의 공과까지 포함하자(남)"고 주장했다.

김 부대표는 회동 직후 브리핑을 통해 "신기남(辛基南) 전 의장이 이야기했던 '진실과 화해 위원회' 형태의 국회의장 자문 기구를 만들고 또 자문기구에서 제안한 의견을 입법화할 국회내 특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며 "한나라당이 당내 논의를 거쳐 추후 답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남 부대표는 "친일, 전후 좌우대립, 유신도 모두 우리 역사의 일부"라며 "공과를 구분해 부정할 부분과 계승할 부분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해 향후 여야간 진통을 예고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