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부모님께서 성실하게 가꾸어온 가정에서 별다른 문제없이 자랄 수 있었습니다.
…일찍부터 컴퓨터와 영어를 접할 수 있었고,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기에 여러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다음 달부터 시작되는 수시2학기 모집 원서 접수를 앞두고 수험생들이 진땀을 빼고 있다.
특별한 공부를 하는 게 아니라 자기 소개서, 학업 계획서, 추천서 등 필요한 서류를 만드느라 머리를 쥐어짜고 있는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수험생들을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것이 자기 소개서다.
얼핏 생각하면 '자신이 누구인지 남에게 소개하는 글'만큼 쓰기 쉬운 것도 없는데 뭐가 그리 어려우냐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자기 소개서를 쓰기 위해 갖가지 수험서를 사 보고, 학원을 찾아가고, 한 장 대신 써 주는데 100만원이니 200만원이니 하는 게 현실이다.
대학입시라면 비용을 아끼지 않는 학부모들의 과열을 탓하자는 게 아니다.
진정 염려스러운 건 자기 존재의 의미나 정체성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볼 기회를 주지 않는 학교 교육 시스템이다.
초.중.고 12년을 교육받고서도 자신을 어떻게 소개해야 할 지 모른다는 건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기자의 기억으로 우리말 가운데 처음 배운 것이 '나, 너, 우리'이고 영어로 처음 배운 것이 'I am Tom. I am a student."이다.
'나'라는 것이 공부의 시작이었는데, 정작 그 뒤로는 내가 누구이고, 나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에 대해 배운 기억이 거의 없다.
막상 대학에 진학해서 혼란스런 시대의 한가운데에 놓이고 나서야 스스로의 정체성을 되물으며 '나는 왜 이리 늦터진 걸까' 가슴을 치곤 했다.
20년 넘게 지난 요즘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학생들은 여전히 자신의 존재가 어떤 의미인지, 사회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해 생각할 시간도, 여건도 없다.
달라졌다면 자기를 소개하는 데 필요한 요건이 성장과정과 가정환경, 품성이나 인성, 가치관을 형성한 계기, 특별한 취미와 특기 등이라고 여긴다는 것뿐이다.
사실은 이게 더 문제일지 모른다.
수험서에 나온 자기 소개서 작성법이나 틀에 박힌 모범답안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한다는 것은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
문득 이인화의 소설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에서 울리던 외침이 떠올라 낡은 책장을 뒤적거렸다.
'앞을 내다볼 수 있는 자는 내가 누구인가, 그리고 내가 할 일이 무엇인가를 안다.
그는 누구보다 먼저 자기를 사랑하고, 자기를 가꾸며, 쓸데없는 일과 무용한 생각을 거절할 줄 안다.
그러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때 우리의 존재는 한갓된 우연성에 바쳐진다.'
김재경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