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조율을 둘러싸고 여권의 분위기가 심상찮다.
청와대는 열린우리당의 현안과 정국대응에 마뜩지 않아하는 표정이 역력하고, 열린우리당은 소외감과 불만이 깊어지고 있다.
당청협의회 등 '공식적 채널'은 마련돼 있지만, 의례적 협의나 조율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지난달 말 당시 당측이 "정국에 대한 대응은 당에서 할테니 대통령은 경제문제에 몰두했으면 한다"고 건의하자 청와대측은 "대통령 일정의 80%가 경제"라고 곧바로 반박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당지도부 사이의 직접 채널도 예전같지 않은 분위기다.
신기남(辛基南) 의장은 최근 '정동영 전 의장은 노대통령과 거의 매일 통화했다더라'는 말에 "정말 그랬느냐"고 놀라워했다.
자신은 그렇지 않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피력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중진의원은 "대통령에게 직접 당의 뜻을 전할 수 있는 길이 없다"고 하소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불협화음의 원인은 '김혁규 전 경남지사 총리 지명' 파동때 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지사의 총리 지명 논란 당시 당의 '미숙한 대응'에 쌓인 청와대의 불만은 6월5일 "청와대 운영에 관해 불필요한 논란이나 간섭을 최대한 자제해달라"는 언급으로 표출됐다.
이후 당과의 채널도 당청협의회 등 공식 라인으로 국한됐다.
물론 '시스템에 의한 대응'이라는 참여정부의 철학과도 상통한 방식일 수 있지만, 현안에 대한 여권의 혼선 등이 부각되면서 당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불만은 특정 계파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다.
한 386세대 의원은 12일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만 해도 당이 잔뜩 폼잡고 있는데 대통령이 싹둑 자르는 바람에 당이 그 욕을 다 먹었다"며 "청와대가 당에 군림하려는 듯하다"고 비판했다.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