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 대응책 마련을 위해 여야는 11일 국회 교육위와 통외통위를 가동해 대책 마련에 나서는 한편 일부 의원들은 여야 공동으로 토론회를 열어 중국을 강력 성토했다.
교육위원들은 이날 상임위를 열고 정부가 대응수위를 높여줄 것을 요구했다. 열린우리당 정봉주(鄭鳳株) 의원은 "정부는 중국이 교과서까지는 왜곡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을 갖고 있는데 중국 교과서는 지방자치단체 및 학술단체에서 제작하기 때문에 왜곡된 내용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 상시 감시체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구논회(具論會) 의원도 "일본의 역사왜곡 사태와 달리 중국에 대해서는 정부가 외곽때리기만 하고 있다"며 "학습만이 대안인 만큼 재중국 교포에 대해 한국역사 알리기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통외통위는 외교부와 가진 간담회에서 거시적인 시각에서 대처할 것을 정부측에 주문했다. 열린우리당 소속 임채정(林采正) 위원장은 "단순한 학문적 접근이 아니라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정세 및 동북아 질서에 영향력을 끼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부의 대응 수위도 달라져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나라당 정의화(鄭義和) 의원도 "조용한 외교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노무현 대통령이 나서서 중국측에 엄중 경고를 해야 범정부적인 대책이 힘을 받을 것"이라며 '올코트 프레싱'을 주장했다.
한편 열린우리당 노웅래(盧雄來) 의원은 같은 날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한나라당 이재오(李在五) 의원 등을 참석시킨 가운데 '중국 고구려사 왜곡,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보다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영수 단국대 역사학과 교수는 이날 토론회에서 △유네스코와 이코모스 활동에 대해 지원 강화 △북한 유적 조사.정비 지원 △북한과의 공동 학술대회 개최 △정부 기구와 민간전문가 단체들의 교류 활성화 방안 등 장.단기 대응책을 제시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