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경북도 따로…지역정치권 '뒷전'

입력 2004-08-10 11:46:17

대구시.경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따로 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역연고가 있는 여권 의원들과의 관계가 소원한 것은 물론 한나라당 의원들에게조차 평소 업무협조(?)가 잘 되지 않는 등 정치권과의 공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지역 현안 등과 관련, 지역의 목소리가 중앙정부에 옳게 전달되지 않아 손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경남도는 오는 20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경남지역구 여야 의원 17명을 비롯해 10여명의 비례대표까지 초청해 당정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초청자 가운데는 열린우리당 김맹곤(金孟坤), 민노당 권영길(權永吉) 의원 등 비(非) 한나라당 의원 및 열린우리당 김혁규(金爀珪).박영선(朴映宣), 민노당 강기갑(姜基甲) 의원 등 범 경남 출신 의원들이 포함됐다.

특히 경북대 총장 출신인 박찬석(朴贊石) 의원(열린우리당)도 경남 산청 출신이라는 이유로 초청자 명단에 포함됐다.

이 자리에서 경남도는 부산.진해 신항만 건설 문제 및 경제자유 구역 지정, 기업도시 유치, 공공기관 이전 문제 등 현안에 대해 예산 협조와 정치권의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공공기관 이전 문제에 대해 경남도는 도로공사 유치를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이번 기회에 동 기관을 유치하려는 경북도에 비교우위를 점하겠다는 각오다.

이에 앞서 경남도는 오는 17일 지역 현안 해결에 실무를 담당할 의원 보좌진들과도 협의회를 개최하고 실무차원에서 지역 현안 챙기기에 나선다.

반면 대구.경북은 여권의 협조가 다른 어느 지역보다 절실한 상황이지만 거의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건교위 소속 한나라당 안택수(安澤秀) 의원은 지하철 부채 탕감 문제와 관련, 대구시가 탕감액을 10% 상향조정하는 대신 탕감기간을 30년 늘리기로 한 협약서에 서명한 것을 뒤늦게 알고 "대구시 유일한 건교위원에게 한마디 상의도 없이 덜컥 사인해 버릴 수 있느냐"며 불만을 표했다.

박종근(朴鍾根) 한나라당 대구시당위원장은 "지역에서 예산을 기획하면 상황보고를 해야 하는데 어떤 단계인지, 비중있는 문제의 선후는 어떻게 되는지, 내가 직접 대구시에 연락해서 챙기지 않으면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초선 의원들의 불만도 상당하다.

영주의 장윤석(張倫碩) 의원은 "현안 파악도 안된 초선 의원들을 대상으로 시.도의 홍보가 부족한 것 아니냐"고 말했고 구미의 김태환(金泰煥) 의원도 "건교위와 관련한 어떤 사업도 경북도로부터 협의 요구를 받질 못했다"고 강조했다.

당정협의에 대해서도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이다.

이달말 한나라당 대구시당위원장이 주선해 2차 당정협의를 가질 예정이지만 임시국회 회기와 겹쳐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지난달 초 열린우리당-대구시간 당정협의에 대해서도 박찬석 의원은 "평소에는 열린우리당이라고 현안 논의에서 철저히 배제하다가 덜컥 지역 사업이라고 쏟아내더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