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수혈'위한 시스템 개편을

입력 2004-07-23 13:48:59

생명을 구하기 위해 수혈한 피가 오히려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고 불안에 떨게 해서야 건강한 사회라 할 수 없다.

끊임없는 논란의 대상이던 '감염혈액 수혈'과 '수혈 감염'이 사실로 확인된 것을 계기로 헌혈과 수혈 전과정에 걸친 시스템의 전면 개선을 검토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0년간 혈액 검사과정에서 검체 뒤바뀜과 입력 오류 등의 관계자 과실로 에이즈.간염에 양성 반응을 보인 혈액이 음성으로 잘못 분류돼 수혈 또는 약품원료로 사용된 사실을 확인했다.

그 결과 수혈용으로 205건, 약품제조용으로 480건이 공급돼, 에이즈 혈액 수혈이 2건 밝혀졌다.

또 간염 혈액 수혈의 경우는 신원이 확인된 70여명 중 50여명이 수혈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미 사망했다고 한다.

복지부가 한정된 수치를 발표했지만 지난 10년간 또는 그 이전에 수혈을 한 모든 사람들이 크건 작건 불안감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일반인들도 마찬가지다.

언제 수혈이 필요한 상황에 놓일지 알 수 없다.

수혈은 위급환자에게 그야말로 생명의 피다.

때문에 그 어떤 의약품보다 안전관리가 중요하다할 것이다.

복지부가 이제서야 수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국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나선 것은 지금까지 혈액관리의 허술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뒷북 행정, 땜질 행정으로는 안된다.

항구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적십자사가 맡고 있는 혈액사업을 국가기관이 맡거나, 아니면 적어도 독점공급의 폐단을 시정하는 쪽으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수혈 전후 혈액검사를 의무화하는 등 다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해 차제에 수혈 불안을 불식시켜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