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주호영 의원 "대상 3만1천명 달해"
열린우리당이 추진하는 대로 친일행위 조사대상자를 대폭 확대할 경우 조사자체가 졸속으로 이뤄져 억울하게 친일파의 누명을 쓰게 되는 피해자가 속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주호영(朱豪英) 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친일행위 진상규명법 개정안에 따른 조사대상자는 총 3만1천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일제하에서 경찰, 관리, 군인 등으로 재직한 한국인수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없어 각종 학술논문을 토대로 산출한 것으로, △경찰 1만2천명 △판임관(지방서기) 1천488명 △주임관(군수) 411명 △판검사 임용자 221명 △지원병 입소자 1만7천664명 등이다.
이 중 군수 411명은 애초부터 군수로 임용된 사람들이며, 판임관 중 군수로 승진한 사람을 제외한 것이다.
또 경찰은 광복 당시 한국인 경찰재직자 1만619명에다 일제 강점기 중 퇴직한 사람을 추정해 산출한 것이다.
여기에는 조사대상이 아닌 경부이하 하급직까지 들어있으나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상의 "일본제국주의에 협력한 행위가 현저한 일반군경"에 해당될 수 있기 때문에 포함시킨 것이다.
지원병 역시 같은 조항에 따라 조사대상에 포함시켰다는 것이 주 의원의 설명이다.
문제는 이들을 대상으로 친일행위 조사를 할 경우 앞으로 5년 동안 휴일, 일요일도 없이 하루에 17.4명을 조사.심의.의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 의원은 "친일파 조사작업을 벌여온 민족문제연구소 등 시민단체가 축적하고 있는 자료가 얼마나 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하루 평균 17명을 조사해야 한다는 것 하나만 보아도 졸속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조사대상자가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주 의원이 산출한 수치에는 하급사법관리, 소위 이상 군인, 중추원 등 고위관료, 경제계.문화계.학계의 친일행위자 등이 빠져있다.
이들 모두 친일행위진상규명법의 조사대상이다.
이에 따라 친일행위 조사대상자가 10만명은 넘을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놓는 사람도 있다.
친일행위진상규명법은 시한을 5년으로 하고 필요할 경우 2차에 걸쳐 1년간 더 조사활동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정도의 활동기간은 대폭 확대된 조사대상자를 정확히 조사하는 데는 너무나 부족하다는 것이 반대론자들의 지적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