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산학연R&D 과제개발 손놨나

입력 2004-07-20 12:20:04

중앙정부 "투자할 곳 없어 고민"

지난 해 정부 R&D 총투자비 가운데 대구의 비중은 전국의 2.2%에 불과한 데다, 과제당 연구비도 전국 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대구시와 R&D 기술력에 의존하는 지역 중소.벤처기업들은 지방에 대해 R&D 투자를 확대하려는 정부정책에 발맞춰 적정한 사업이나 과제를 발굴해 제안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해 정부의 R&D 총투자비 6조5천154억원 중 대구지역은 1천94억원을 차지해 전국에서 겨우 2.2%를 점유하고 있으며, 또 모두 1천225개 과제를 수행해 과제당 연구비는 8천900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과제당 평균 연구비 1억9천만원에 비해 크게 적은 액수다.

대구지역의 산.학.연 각 주체별 R&D 전국 비중을 살펴보면, 학계가 5.4%(604억원)로 가장 높고, 산업계는 3.4%(276억6천만원)이며, 31억5천900만원을 기록한 연구소는 0.1%에 머물렀다.

지역별 GRDP 대비 연구비 역시 대구지역의 경우 0.54%로 전국 평균 0.80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대구지역의 R&D 투자는 전체 규모가 취약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 과제에 집중되어 있는 셈이다.

한편 과학기술부와 KISTEP이 전국의 대학, 연구기관, 기업체 8천43개 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해 우리나라 정부와 민간의 전체 R&D 투자는 19조687억 원(160억 달러)으로 전년에 비해 10.1%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 같은 R&D 투자 규모는 미국의 17.8 분의 1, 일본의 7.8분의 1, 독일의 3.8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기종 기반조성사업분석실장은 "중앙정부는 수도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방의 R&D투자를 확대하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지방의 어느 부문에 구체적으로 투자해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 실장은 "지방정부와 중소.벤처기업들이 국가발전전략에 맞는 지역의 R&D 사업이나 과제를 적극 개발해 중앙정부의 제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