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억 중국 교육 대혁명-(3)수업의 질 높이기

입력 2004-07-13 15:00:00

사교육 시장 협소, 낮은 경제수준 등 중국 교육이 학교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데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그러나 가장 큰 이유는 학교수업의 질이 높다는 데 있다.

수업의 질이 높은 만큼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와 교사를 철저히 신뢰한다.

중국은 어떻게 수업의 질을 끌어올릴까. 답은 교사평가와 보상제도.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이념교육 대신 실력을 우선시하고 있다.

중국 교직 사회에서 철밥통이 사라진 지 오래다.

초'중'고의 교사평가제, 교원 성과급제, 교장 초빙제, 대학교수의 종신제 타파 등 중국은 교원의 철저한 경쟁을 유도하고 있다.

"학교를 취재하고 싶으면 베이징(北京)시 교육국의 허가를 받으시오." 베이징의 명문 초'중'고는 물론 대학들은 모두 취재를 거부했다.

베이징의 방송국, 중국기자협회를 통해도 취재를 허락하지 않았다.

요컨대 교육국을 통한 공식절차를 거치라는 것이다.

그러나 학부모들을 통하자 '불가'를 외치던 학교들은 '문'을 열었다.

학교나 교사 모두 학부모와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 학부모'학생도 수업내용 평가

"학부모와 학생의 의견은 교사평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중국 교사와 교수, 학생들의 공통된 의견이었다.

중국의 각급 학교는 학기를 마칠 때쯤 교사의 수업내용과 방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이 때 학부모 의견도 반영된다.

학생의 평가가 나쁠 경우 교사는 담임을 맡지 못할 수도 있다.

교사들은 학부모와 관계뿐만 아니라 교과 연구에도 열심이다.

공통 교과 외에도 명문학교일수록 학교가 펴낸 교재가 많다.

교사들은 개인 혹은 팀을 짜 교재를 만들고 수업에 이용한다.

명문학교의 우수한 교사가 만든 교재는 다른 학교 학생들도 사서 본다.

이는 결국 교사의 명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수익이 되기도 한다.

이 같은 교과연구나 교재발간도 교사평가의 대상이 된다.

중'고의 경우 명문학교 진학률도 교사평가 기준이 된다.

명문학교 진학생이 많으면 학교의 명성이 높아지고 교육부의 지원도 많아진다.

또 명문고교가 운영하는 대학입시학원은 비싼 수업료에도 불구하고 재수생이 몰린다.

비명문 고교는 입시학원 운영자체가 어렵다.

수강생이 없기 때문이다.

잘 가르친다는 평가를 받는 교사들은 학교에서 지급하는 성과급이나 입시학원 출강비 외에 개인과외로도 돈을 번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교사의 개인과외가 금지돼 있지 않다.

◇ 고교 기부금 입학제 제도화

중국의 초등학교는 원칙적으로 무시험이다.

그러나 명문학교로 이름난 학교는 지원자가 넘친다.

시험을 통해 신입생을 선발할 수밖에 없다.

신입생 중 일부는 기부금을 내고 입학한다.

초등학교 기부금 입학은 비공식적이지만 공공연하다.

중학교도 근거리를 중심으로 배정하지만 기부금 입학생이 있다는 게 학부모들의 말이다.

이 기부금은 학교발전기금과 교사 성과급으로 쓰인다.

고교는 모두 입학시험을 치른다.

고교의 기부금 입학제는 제도화 돼 있다.

입학 성적에 조금 못 미치는 점수로 낙방한 학생을 대상으로, 입학 정원의 10% 내에서 기부금을 받고 입학시킨다.

이는 모두 학교의 재원이 되고 교사의 성과급으로 연결된다.

일류가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인식은 각급 학교 전반에 걸쳐 퍼져 있다.

칭화대(淸華大)는 1998년 중국 최초로 '칭화대학 교학연구 및 교수훈련 센터'를 개소했다.

또 국외 8개 명문대학의 평가방법을 모델로 평가지표를 만들어 강의의 질을 평가했다.

칭화대는 1998년이래 10학기 연속 교수강의 평가를 실시했다.

◇ 교수 채용땐 계약제 채택

베이징대(北京大), 지아오통대 등도 교수평가를 실시한다.

베이징대는 신규 교수 채용시 계약제를 택한다.

계약 기간은 3년. 전임강사는 3년씩 두 번 연임하고 승진하지 못하면 퇴출 된다.

부교수'정교수도 평가와 퇴출에서 예외일 수 없다.

상하이(上海) 지아오통(交通) 대학 관계자는 수업내용의 질, 연구결과, 수업효과 등을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데 2년 전부터 해고가 부쩍 늘었다고 했다.

학생들의 평가가 나쁠 때도 위원회를 열어 징계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우수한 교원에 대한 보상도 철저하다.

대학들은 교수평가를 근거로 연봉을 지불한다.

연봉차이는 매우 크다.

지난 2001년 칭화대에서는 연봉 10만 달러 이상을 받는 교수가 150명에 달했다.

이중 10%는 연봉 100만 달러 이상을 받았다.

중국의 교원 평가제도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자신은 학생들의 평가보다 훨씬 수업을 잘했다고 본다'며 불만을 토로하는 교사도 있다.

교육부 관계자와 학교측 관리자 중에도 학부모와 학생의 평가를 100% 신뢰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평가와 보상이 학생과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조두진기자 earful@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