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가 신행정수도 건설에 대한 찬반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자 열린우리당은 연일 분명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고 있다.
적장이 명확하게 반대를 표명하면 대책이라도 세울 텐데 박 전 대표가 "특위를 만들어 국회에서 논의하자", "국민대토론회를 갖자"는 등 원론 수준의 발언을 하며 신행정수도 건설 논란을 장기전화 하려 하자 우리당은 내심 속이 타는 것이다.
우리당 김현미(金賢美) 대변인은 7일 브리핑에서 "수도권의 단체장들을 내세워 반대운동을 총지휘하는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의 대권전략과 이쪽(수도권) 표도, 저쪽(충청권) 표도 놓칠 수 없다는 박 전 대표의 어정쩡한 대권 전략이 서로 상충하면서 당론을 정하지 않고 정부 흔들기로 일관해 국민적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도 박 전 대표의 입장정리를 요구했고, 신기남(辛基南) 의장과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도 비슷한 발언을 한 바 있다.
우리당이 이처럼 속앓이를 하고 있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신행정수도 건설 논란이 시작된 후 당 지지도가 눈에 띄게 떨어지고 있는데 신행정수도에 대처하는 박 전 대표의 호흡이 길어 국면전환도 어렵고 대응책 마련도 쉽지 않은 것. 우리당 일각에서는 지난 총선 때 정동영(鄭東泳) 전 의장의 노인폄훼 발언에 대해 박 전 대표가 단 한번도 직접 비난하지 않고 총선 후보와 국민들이 대신 비난하게 만들어 효과를 극대화했던 악몽을 되새기고 있다.
우리당 서영교(徐瑛敎) 부대변인은 "신행정수도 건설 반대운동에 나선 이 서울시장과 손학규 경기지사에겐 대권욕으로 신지역주의를 만들고 있다고 맞받아칠 수 있으나 박 전 대표에겐 그런 공격도 할 수 없다"며 "대권전략으로 볼 때 박 전 대표가 훨씬 고수"라고 풀이했다.
사실 한나라당으로선 신행정수도 건설 논란을 조기에 매듭지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
TV토론, 신문지상 토론 등으로 관심이 커지면 커질수록 수도권의 민심이 우리당을 떠날 가능성이 없지않기 때문이다.
대표직을 일단 사퇴해 신행정수도에 대한 입장을 서둘러 밝힐 이유가 없어진 박 전 대표가 전당대회 뒤 신행정수도 건설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 주목된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