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위원장 이해봉)가 대구, 대전, 광주 등 3개 도시를 R&D특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대구가 R&D특구로 지정되면 각종 연구 개발 투자에 금융 세제상 특혜가 가능하고 정부 지원금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구가 추진 중인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및 테크노폴리스 건설과 맞물려 '과학기술 도시 대구'를 만드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위 소속 한나라당 강재섭(姜在涉).서상기(徐相箕) 의원 등은 8일 "대덕에 지정하려는 R&D특구를 지역균형발전과 과학 입국을 위해 대구, 광주로 확대 지정되도록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며 "과기부와 협조해 대덕연구개발특구법을 연구개발특구법으로 바꾸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의원은 8일 국회 과기정위 전체회의에서 오명(吳明) 과기부장관에게 "과학기술의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과기부가 추진 중인 '대덕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연구개발특구 육성에 관한법'으로 바꿔 대전, 대구, 광주를 잇는 트라이앵글형 R&D특구 모델로 개발해야 한다"며 법 명칭 변경을 제안한 뒤 "수도권과 대전에 80% 가까이 집중돼 있는 R&D 기능을 서남권과 동남권으로 확산시켜 시너지효과를 불러일으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오 장관은 이에 대해 "광주는 광주과기원을 중심으로 대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종합적인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긍정 답변한 뒤 "그러나 이번에 대덕을 먼저 해보고 그 성과를 타지역으로 확산한다는 차원에서 일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출신 비례대표인 서 의원은 "대구가 DKIST와 테크노폴리스를 건설해 '과학기술 대구'를 꿈꾸고 있는 마당에 대구를 R&D특구로 지정해 집중 육성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R&D특구로 지정되면 특히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흡인력이 매우 커져 대구가 과학기술 도시로 발전하는 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예산 축소 논란을 빚고 있는 DKIST 설립과 관련, 과기부가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오 장관은 "DKIST 설립 사업은 대구경북의 미래가 걸려있는 사업으로 특히 정부 예산지원이 중요한데 예산을 5천800억원에서 3천120억원으로 축소한 이유가 뭐냐"는 서 의원과 김석준(金錫俊) 의원의 질의에 대해 "총예산은 계산상의 차이일 뿐 내년 예산도 기본계획에 따라 더 필요하면 추가할 수 있다"고 예산축소가 아니란 점을 공식 확인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