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파동'...갈등의 뿌리는?

입력 2004-07-06 15:39:52

대구지하철의 구조조정을 위한 조직 개편안이 5일 대구시의 승인을 받으면서 '경영 및 안전'을 둘러싼 노사간의 논란과 갈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대구지하철공사의 조직 개편안이 이미 승인 절차를 거쳐 재조정이 쉽지않은데다 노조는 이미 20일쯤 파업을 예고한 상황이어서 지하철노조의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높다.

지하철공사의 조직개편안에 따르면 지하철 2호선의 내년 9월 개통에 대비해 1호선의 정원 1천397명에 533명을 증원, 총 1천930명으로 1, 2호선을 통합 운영하겠다는 것.

이에 따라 1호선의 158명을 2호선으로 이동 배치하며 12개 지하철 역사의 관리와 전동차의 일부 중정비 업무, 궤도 단순보수작업 등 6개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 276명은 민간 위탁 및 외주용역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또 현재 6부 20개팀 9현업 7팀인 조직이 8처(실) 23팀 8현업 21개팀으로 바뀐다.

공사는 이 개편안이 시행되면 인건비 140억원이 줄고 외주용역을 통해 48억원의 예산이 절감되는등 연간 총 180여억원의 비용 절감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손동식 지하철공사 사장은 "지하철 1호선의 순수 운영적자만도 연간 400억원(손익계산서상 1천200억원)에 이르고, 2호선까지 운영할 경우 순수 운영적자가 750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여 조직개편이 불가피한 실정"이라며 "안전과 경영을 동시에 고려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사측이 인력 감축에만 급급하고 있으며 민간 위탁 및 외주용역 등은 비정규직 양산을 부추켜 결국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주5일 근무제 시행과 관련, 인력을 충원하기는 커녕 경비절감을 이유로 현장의 안전 요원마저 감축하면서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것.

대구지하철노조 이원준 위원장은 "공청회나 관련 전문가들의 검증없이 공사가 일방적으로 조직개편안을 수립했다"며 "노조도 일정부분의 인력감축 및 외주용역화를 인정하고 있는 만큼 대구시와 공사가 합리적인 개편안을 만들어 대화에 나서지 않으면 총파업 등 총력 투쟁을 벌일 방침"이라고 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