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6일이 현충일인지 모르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왜 이날로 정해졌는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6.25전쟁이 터진 6월과 24절기 중 망종일(芒種日)을 고려해 정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6월은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많은 장병들이 산화한 달이며, 매년 양력 6일경은 24절기 중 망종일로서 제사를 지내는 옛 풍습이 있다"면서 "고려 현종 5년에는 6월6일에 조정에서 장병의 뼈를 집으로 보내 제사를 지내도록 했던 기록이 문헌에 있다"는 것.
또 현충일이 처음 제정된 56년 6월6일도 음력으로 망종일이었다는 것이다.
대구보훈청 관계자는 "현충일이 처음 제정된 당시에는 6.25전몰군경을 추모하는 날로 받아들여졌는데 91년 현충일 기념행사때부터 모든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을 추모하는 개념으로 바뀌어 지금까지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