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노트-대여권 창구 열릴까

입력 2004-05-22 13:52:05

개편된 청와대 비서진과 다음주로 예정된 개각 등에서 지역 인사가 거의 눈에 띄지 않자 '대구.경북 소외'에 대한 걱정이 지역 여권에 퍼지고 있다.

총선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를 모두 떨어뜨려 지역 스스로 참여정부와 호흡을 함께할 선을 차단했는데 이제 와서 무슨 소외론이냐란 반론도 없지 않다.

그러나 우리당에 대한 지지도가 과거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보다 두배 이상 높은 등 변화의 가능성이 있어 대구.경북을 버려서는 안된다는 게 여권 인사들의 주장이다.

우리당 대구경북선대위원장을 맡았던 김한규(金漢圭) 전 총무처장관은 최근 "대구.경북의 여론을 파악하고 현안을 챙길 참여정부의 창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 전 장관은 "노풍(老風) 등 각종 바람이 없었다면 5, 6석은 얻었을 것"이라며 "지역구도를 깨지 못한 게 안타깝지만 그렇다고 정부 여당이 대구.경북을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낙선한 윤덕홍(尹德弘) 전 교육부총리와 김태일(金台鎰) 영남대 교수 등은 최근 '열린우리당 지지기반 확대 방안' 문건을 만들어 청와대와 중앙당 지도부 등 요로에 이를 배포하며 대구.경북 인사의 중용을 읍소(?) 하고 있다.

이들은 문건에서 "당에 대한 지지가 늘었으나 지역주의 벽에 막혔다"고 4.15 총선을 평가하고 "우리당이 전국 정당화 기조를 계속 유지해 '대구.경북 버리기 전략'의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대구.경북 출신 인사를 당.정.청에 적극 기용해 지역의 의견 수렴 통로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강철 우리당 국민참여운동본부장의 포지셔닝이 가장 우선적이고 시급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이 본부장의 진로는 아직 불투명하다.

총선 이후 한동안 잠행한 그는 이번주부터 각계 인사를 만나는 등 활동을 재개했으나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권기홍 전 노동장관, 이영탁 전 국무조정실장 등 총선에 올인한 인사나 이재용 전 남구청장 등 선전한 인사들의 후속행보도 눈에 띄지 않는다.

대구시당 한 관계자는 "이제 와서 지역 의견 수렴 통로를 얘기하고 있는 처지가 기막히지만 그렇다고 그냥 앉아 있을 수만도 없는 일 아니냐"고 반문했다.

정치2부.최재왕 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