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주한미군 일부 병력의 이라크 차출
제안은 지난 14일 주한미국대사관과 주미한국대사관 두 채널로부터 거의 동시에 한
국정부에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14일은 헌재에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된 날이어서 "미국
이 탄핵기각을 기다렸다 제안한 것이 아니냐"는 억측을 낳기도 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에 대해 "최근 이라크 사태가 긴박하게 돌아가면서 미국
이 병력 증원계획에 대해 고심하기 시작했고 결국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을 결정하
게 된 것"이라며 "탄핵 기각을 염두에 두고 했다기 보다는 공교롭게 때가 맞은 것"
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6일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이 미 공영라디오방송(NPR)과의
회견에서 "주한미군을 이라크로 이동시키는 것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자 주
한미군의 이라크 차출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사전대비해왔다.
그러나 예상보다 빨리 미국의 제안이 통보되는 바람에 다소 당황하면서 향후 대
응방안 마련과 한.미관계 영향 분석에 고심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통상부는 미국의 제안이 접수되자 곧바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통해 노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양국은 그동안 외교채널을 통해 주한미군 이라크 차출에 대해 의견을 접
근시킨 뒤 17일 오전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과 스티브 해들리 미 백악관
안보부보좌관간의 전화통화를 거쳐 이에 대해 사실상 합의했다.
반 장관은 이날 오후에는 청와대를 방문, 노 대통령에게 이같은 합의사항을 보
고하고 재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날 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전화통화를 통해
정상차원의 최종합의를 함으로써 주한미군 이라크 차출 문제는 불과 나흘만에 결론
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