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표 독주 차단 속셈 3선그룹 세 결집
차기 당권을 노린 한나라당내의 지도체제 논란이 본격 점화되고 있다.
총선이 끝난 직후 곧바로 지도체제 변경 문제를 전면에 부상시킨 3선그룹이 모임을 갖고 집단지도제체 도입을 위한 세불리기 작업에 들어간 가운데 현행 박근혜(朴槿惠) 체제의 유지를 주장해온 소장파들도 이에 대한 대항논리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재오(李在五), 김문수(金文洙), 홍준표(洪準杓), 안상수(安商守) 의원을 주축으로 한 3선그룹은 2일 저녁 인천 강화군 길상면 민박집에서 모임을 갖고 지도체제 및 당 개혁방안 등을 논의한 끝에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위해 당내 세력결집에 나서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모임에는 3선 그룹 이외에 전재희(全在姬), 심재철(沈在哲)의원 등 재선그룹과 이혜훈(李惠薰), 이군현(李君賢) 당선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모임의 성격에 대해서 김문수 의원은 "특정 의제를 정하고 만나는 것이 아니라 지도체제 문제를 비롯해 17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한나라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집단지도체제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도 상당수 참석한 만큼 집단제도체제 도입을 위한 세규합으로 보지 말아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이번 모임은 박근혜 체제 유지를 견지하고 있는 소장파들이 지난달 경주에서 1박2일 일정으로 모임을 갖고 결속을 다진데 대한 대응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게 당내의 일치된 시각이다.
3선 그룹의 집단지도체제 도입 주장의 논리는 여권의 공격에 대한 분산이다. 즉 2번의 대선에서 패배한 것은 바로 이회창(李會昌) 전 총재 한사람에게 한나라당이 올인한 결과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권의 공격이 특정인에 집중되는 것을 막지 못할 경우 차기대권도 어렵다는 주장이다.
안상수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해야 여권의 공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인물을 키울 수 있다"고 했으며 전재희 의원도 "집단지도체제는 역할분담을 통해 지도자의 풀을 넓힐 수 있어 야당을 지키는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논리는 한겹 벗겨보면 대권가도에 가장 근접해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박 대표의 독주에 대한 불안감이 자리하고 있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정치적으로 한단계 더 성장할 가능성이 차단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생각이라는 것이 소장파들의 시각이다.
3선 그룹들의 집단지도체제 도입 주장에 대해 영남권 중진의원들도 비판적이다. 강재섭(姜在涉) 의원은 "지금의 지도체제로도 얼마든지 국민에게 다가설 수 있다"며 "한나라당은 숫가락 싸움을 할 때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 어떤 모습을 보여야 하고 어떤 일을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가에 신경쓰고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고 비판했다.
이상득(李相得) 의원도 "집단지도체제라고 해도 결국은 당 운영의 최종 책임은 대표에게 있다"면서 "여권의 공격을 여러사람이 분산해서 맞는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