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대구 동구청장과 북구청장을 뽑는 6.5 재보선에 후보를 낼지 말지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원내 과반수 의석을 가진 집권 여당으로서 당연히 후보를 내야한다는 시각도 있으나 일각에서 승산없는 선거에 후보를 내서 무엇하느냐는 회의론도 만만찮은 것. 이번만은 한나라당 일색의 지역정치 구도를 깰 수 있다고 보고 4.15 총선에 '올인' 했으나 무참하게 전패한 데 따른 후유증인 셈이다.
대구 출신 중앙당 한 관계자는 "총선 결과를 볼 때 대구에는 차라리 구청장 후보를 내지않는 게 현명하다는 기류가 강하다"며 "당선이 쉽지 않겠지만 국회의원이 모두 한나라당인 상태에서 구청장에 열린우리당 후보가 당선돼봐야 지역을 위해 무슨 일을 하겠느냐는 관점"이라고 전했다.
대구시지부 김충환 사무처장도 "후보를 내지 말고 대구 정치는 모두 한나라당에 맡겨 지역발전을 책임지게 하는 것도 한 방안이란 의견이 적지않다"며 "굳이 좋은 후보를 찾아다니고 있진 않지만 출마하겠다는 사람이 있는데 후보를 내지 않는 것도 어렵다"고 고민을 토로했다.
"계란으로 바위치기격일지라도 후보를 내 지역주의와 정면 승부하는 것이 집권여당으로서의 책임"이란 주장도 나온다.
조직국 한 관계자는 "탄핵풍(彈劾風)의 영향이었지만 한때나마 정당지지율과 후보지지율이 한나라당을 앞섰다는 것은 희망이 있다는 것"이라며 "모두 2위를 했지만 정당지지율이 22%라면 다섯명 중 한명은 집권 여당에 기대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부산, 경남의 분위기는 대구와 확연히 다르다.
부산시장과 경남지사를 뽑는 빅매치인 데다 열린우리당 후보가 인물에서 한나라당에 밀리지 않고, 최근 APEC을 유치해 여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
부산출신 한 당직자는 "부산.경남 총선에서 한나라당에 패했지만 이긴 곳과 졌더라도 접전을 벌인 곳이 많다"며 "특히 지역 일꾼을 뽑는 부산시장과 경남지사 선거는 해볼 만하다는 게 당의 대체적인 분위기"라고 전했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사진 : 30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열린우리당과 기획예산처의 당정협의에서 김근태 원내대표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