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전농 "지분 더…"

입력 2004-04-30 11:46:27

민주노동당이 최대 지지기반인 민주노총과 농민단체들의 요구에 고심하고 있다.

민노총은 29일 민노당내 지분 확대를 주장했고 농민단체들은 민노당이 농민을 대변하지 못하는 인상이라며 당명개정을 촉구했지만 당장 이렇다할 해결책을 내놓기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민주노총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여성농민회 등 민노당의 근간을 이루는 단체들은 이날 민노당의 원내진출 이후 처음으로 자리를 함께하며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각 단체들은 앞으로도 변함없는 지원을 약속했지만 당대회를 앞두고 각 단체의 지분문제에 대해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현행 민노당 당규에는 직선 대의원 외에 노동계 30%, 농민.빈민.학생 각 3%, 여성.청년 각 1% 등이 배정돼 있지만 총선전 전국농민회총연맹측과 대의원 비율을 노동계의 절반으로 합의한 게 문제가 되고 있다.

전국 조직망을 갖춘 전농의 지지가 필요해 총선전 이같이 합의했지만 현행 당규대로 하면 간선 대의원 비율이 직선 대의원의 절반에 육박해 대의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전체 당원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현재의 30%를 유지하고 당원이 2.8%에 불과한 전농측엔 3%를 배정할 것을 주장했고 이에 맞서 전국농민회는 10%의 대의원 할당을 요구하는 등 팽팽히 맞서고 있다.

당선자 10명의 상임위 배정과 관련해서도 민노총은 당 노선과는 다른 주문을 내놓았다.

민노총은 환노.복지.농해수.문광위 등에는 동의하고 법사.국방위는 비워두더라도 민생과 직결된 과기정통.건교위에 의원을 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민노당은 법사.국방위 선택이 주요분야의 정보 취합과 정책 역량 제고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이날 회의에서 전농측은 노동자 정당으로 인식되는 당명과 강령을 바꾸기 위한 재창당 논의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강력한 개혁드라이브 추진을 촉구해 모처럼 만난 자리는 어색하게 끝날 수밖에 없었다.

회동이 끝난 뒤 민노당의 한 핵심당직자는 "당은 노동자.농민.빈민의 지지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국민 전체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면서 "민노총과 전농측의 요구를 어떻게 수용해야 할 지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