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3 재학생입니다.
부모님께서는 그냥 열심히 하라고 하면 될 것을 왜 최악의 결과를 거론하며 위기감을 고조시키는지 모르겠습니다.
부모님의 말씀은 도움이 되기보다는 늘 마음을 불안하게 합니다.
부모님의 말씀에 자꾸 반항하고 싶을 때 어떻게 마음을 다스리면 좋겠습니까?
◇ 격려와 악담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 아직까지도 매질과 꾸중과 간섭이 학생을 분발하게 하는 특효약으로 생각하는 어른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묻고 싶습니다.
당신께서는 학창시절 정말로 철저하고 완벽했습니까? 당신은 지금도 자기 발전을 위하여 피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당신의 별 생각 없는 말 한 마디가 어린 학생을 영원히 정신적 불구자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셨습니까?
위기를 들먹이며 남을 통제하려는 사람에게서는 남을 설득시키려는 진지한 노력과 고뇌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위기론은 일종의 폭력입니다.
위기론의 무자비한 횡포 앞에서 대부분 힘없는 개인은 위기 극복의 의지를 갖기보다는 불안감 때문에 무기력해지기가 쉽습니다.
위기론 속엔 가학성 잔인함이 깃들어 있습니다.
불안감은 인간의 모든 잠재 능력을 파괴하고 영혼을 병들게 합니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칭찬과 격려의 말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힘이 솟아납니다.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면 자신도 이상하게 느낄 정도로 어려운 문제들이 쉽게 해결됩니다.
이런 경험이 쌓이면 모든 일에 자신감을 가지게 됩니다.
어른들은 자신의 젊은 날을 돌이켜보며 청소년의 입장에서 충고와 조언을 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칭찬과 격려는 천재를 만드는 비법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칭찬만 해서는 안 되겠지요. 때와 장소와 상황에 관계없이 습관적으로 무조건 칭찬만 하는 행위는 극단적인 무관심의 한 형태입니다.
모든 어른들은 학생의 질문을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질문한 학생은 부모님의 속마음을 헤아리려고 애쓰기 바랍니다.
표현하는 화법엔 다소 문제가 있을지 모르지만 학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부모님의 마음은 언제나 한결같습니다.
그 마음만 받아들이도록 노력해 보십시오. (송원학원 진학지도실장 ihnyoon@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