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3김'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 총재가
19일 총재직 사퇴 및 정계은퇴를 전격선언함으로써 3김시대도 막을 내리게 됐다.
35세때인 지난 61년 처삼촌인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
하며 한국 정치사 전면에 등장한 이후 '마지막 3김'으로 남았던 그가 결국은 마지막
까지 미련을 갖던 10선고지를 달성하지 못한 채 쓸쓸히 정치를 떠나게 된 것이다.
또 5.16 쿠데타로 등장한 그가 40여년간의 정치인생을 접는 날은 우연하게도 4.
19 혁명 44주년 기념일이어서 역사의 아이러니를 실감케 한다.
김 총재는 61년 정계에 발을 들여놓은 이후 40여년간 '자의반 타의반' 외유, 정
치 규제, 3당합당과 민자당 탈당, 자민련 창당, 공동정권 파기, 16대 총선 참패 등
숱한 곡절을 겪으면서도 정치적 입지를 유지해왔다.
물론 김 총재가 이러한 위기상황에서도 재기를 할 수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충
청권이란 텃밭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매번 침몰직전까지 몰렸던 JP에게 충청권은 아
낌없는 지지를 해 줬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2년 6.13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에 참패하고 소속의원들이 잇따라 탈
당한데 이어 그해 16대 대선에서 충청권 행정수도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운 민주당에
텃밭을 잠식당하면서 충청권 맹주로서의 위상이 크게 약화됐다.
김 총재는 지난해 10월 자민련이 충청지역 기초단체장 재.보선에 모처럼 승리,
이번 총선에서 원내교섭단체 복원을 꿈꿨지만 '한.민 동맹'의 대통령 탄핵 추진에
뒤늦게 가담하면서 '탄핵폭풍'에 치명타를 맞으며 재기불능의 상태로 몰렸다.
더욱이 총선 결과는 충남지역 4석이라는 사상최악의 성적를 기록한데다 비례대
표 1번으로 출마한 자기 자신 조차 낙선하면서 고립무원의 상태에 빠진 것이다.
결국 총선후 사흘간을 청구동 자택에 머물며 장고(長考)를 거듭하던 그는 이날
오전 당사에 출근, 당선자들과 만나 "패전의 장수가 무슨 말이 있겠느냐. 모든게 저
의 부덕한 탓"이라며 "오늘로 총재직을 사퇴하고 정계를 떠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노병은 죽진 않지만 조용히 사라지는 것"이라며 "43년간 정계에 몸담으면
서 나름대로 재가 됐다"고 43년간의 정치역정을 술회하는 것으로 조용히 정치인생을
접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