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 앞으로 다가온 이번 4.15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사람이 대구.경북은 70.5%, 전국은 77.2%(중앙선관위 여론조사)로 예년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같은 투표율이 최종 투표결과에 어떤 식으로 반영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20.30대 젊은 층은 개혁, 50.60대 장.노년층은 보수경향을 보이는 등 연령대별로 이념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기 때문.
투표율이 높을 경우 다양한 여론조사결과 20%선으로 추정되는 부동층이 투표직전까지 선택 후보를 저울질하다 대거 투표에 참가한다는 가정이 성립되기 때문에 각당은 막판 득표 전략을 부동층 흡수에 주력하고 있다.
또 각 당은 보수.개혁의 중간 연령층인 40대 끌어안기에도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매일신문과 유니온리서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서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자는 20대가 55.5%, 30대는 68.2% 인데 반해 40대와 50대 이상은 각각 76.3%, 79.1%로 나타나는 등 연령대별 투표율에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정당지지도면에서도 연령대별 분화현상이 뚜렷해 20.30대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에 대한 지지성향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50대 이상 유권자는 20.30대에 비해 한나라당 지지경향이 2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령대별 투표율이 후보당락의 최대변수가 될 전망이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지난 16대 총선에서 60대 이상 투표율은 전국적으로 무려 75.2%였으나 20대는 그 절반가량인 36.8%, 30대는 50.6%에 그쳤다.
평균은 57.2%.
그러나 지난 대선때 20. 30대 투표율은 16대 총선때보다 각각 20%와 17% 가량 높은 56.5%, 67.4%로 나타났다.
16대 대선에서 젊은층의 투표참여가 급증하면서 당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에도 20.30대 투표율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16대 총선의 대구지역 투표율은 53.5%, 경북은 64.6% 였다.
한편 대구시 선거관리위원회는 대구백화점과 동대구역 광장 등 10여곳에서 최근 투표참가 운동을 벌였으며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와 총선시민연대 등 시민단체들도 투표 참여를 위한 e-메일 릴레이 행사와 자전거 순례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선관위 관계자는 "총선투표율은 지난 14대때 66%를 기록한 이후 15대 60%, 16대 53% 등으로 해마다 낮아졌다"고 "이번에는 60%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선관위의 목표"라고 밝혔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