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조직개편안 논란

입력 2004-04-07 11:49:41

대구지하철공사가 2호선 개통을 앞두고 적자폭 감소와 인력운영의 효율성 등을 이유로 업무 외주화와 현장기술직 감축 등을 내용으로 하는 조직개편 추진에 나서 노조반발과 함께 안전문제 등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공사의 조직개편안은 크게 무인화와 자동화설비 확대에 따른 인력감축과 역사 외주용역 및 부서조정 등 세가지로 안에 따르면 1, 2호선 56개역 중 14개역이 민간에 외주용역 방식으로 위탁되고 6부20개팀에서 9부25개팀으로 조정된다는 것.

현재 지하철1호선 현원은 본사 220명에 역사 등 현장인력 1천100명 등 총 1천300여명이지만 공사는 2005년9월 2호선 개통에 대비, 본사인력 103명을 포함해 현장인력은 322명만 추가채용한다는 계획이어서 현장인원이 상당수 감소하게 된다.

이에 노조 측은 "현장 기술직을 줄이고 외주를 실시하면 기술적 노하우 부족 등에 따른 부작용이 빚어질 수밖에 없고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꼴이 된다"며 "직원들의 근로조건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지하철 안전 운행에도 심각한 문제"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하철공사는 지난 2일 대구지하철 2호선개통 대비 조직개편안 직원설명회를 개최하려다 지하철 노조의 반발로 무산됐다

그러나 지하철공사는 안전과 직결되고 기술력이 필요한 부문은 직영으로 운영하고 단순 반복업무 위주의 작은 역에 대해서만 외주 용역을 추진, 안전엔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훈 공사사장은 "본사 신규채용 인력 103명 중 42명은 현장성이 강한 종합사령실 근무인원이고 안전관리직과 승강 및 소방설비 등에 80여명을 채용, 안전성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며 "적자에 따른 시민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조직운영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조치"라 밝혔다.

한편 이달 개통되는 광주지하철의 경우 13개역 중 9개역을 위탁 운영키로 결정하는 등 지하철 역무위탁이 전국적인 추세이고 이에 따른 노사간의 마찰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