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다 죽은 줄만 알았어", "부모님 모시느라 고생 많았어요"
29일 오후 금강산 김정숙 휴양소에서 열린 '제9차 이산가족상봉' 단체상봉에서
유창근 할아버지(75)는 지난 71년 독일에서 노무관으로 일하다 본국 귀환을 한달 앞
두고 사라졌던 동생 성근(71)씨를 만나 오열했다.
성근씨는 충남 연기군에서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소문난 수재로 서울
대 사회학과 입학 뒤 고시까지 합격해 노동부에서 근무하다 독일 주재관으로 나갔다.
한국에 있던 부인과 딸을 초청, 여행 중 성근씨 가족이 동베를린행 기차를 탄
것으로 알려져 자진 입북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으나 북한을 선택할 특별한
이유가 없어 납북으로 결론난 상태다.
성근씨는 자신의 인생역정에 대해 할 말이 많은 듯 "형님 진정하세요. 저도 할
말이 많지만 차차 하지요"라며 울음을 그치지 못하는 형 창근씨를 달랬다.
이날 동반가족으로 창근씨와 동행한 넷째 종근씨는 "암에 걸려 죽을 뻔 했는데
형님 보려고 이를 악물고 살아 남았다. 건강하게 오래 오래 살아야겠다"며 형 성근
씨를 다시 만난 기쁨을 표시했다.
이날 상봉에서는 지난 87년 1월15일 납북된 '동진 27호'에 타고 있던 12명 선원
중 한 사람인 양용식(47)씨도 남측의 아버지 양태형(78) 할아버지를 만나 재회의 기
쁨을 나눴다.
용식씨는 건강하게 자란 두 손녀를 아버지에게 보여주며 한동안 "아버지"만을
되내며 말을 잇지 못해 주변을 안타깝게 하기도 했다.
용식씨는 "아버지가 건강히 살아계셔서 너무 좋다"며 "혹시 돌아가셨을까 봐 걱
정했는데 걸어 들어오시는 모습을 보고 눈물이 났다"고 말하자 양 할아버지는 "어디
서 살든 몸만 건강하면 된다. 통일될 때까지 살아야겠다"고 말했다.
양 할아버지는 또 며느리 도애숙(38)씨의 손을 꼭 쥐고 "이렇게 곱고 예쁜 며느
리가 북쪽에 있었구나. 너도 너무나 고맙다. 애들 낳고 잘 살아줘서.."라며 생전 처
음 본 며느리의 손을 놓지 못했다.
이날 할아버지를 처음 만난 손녀 평애(13)양은 "할아버지가 남쪽으로 돌아가지
말고 같이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해 천진난만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국군포로인 형 종옥씨를 만나려고 했으나 작년 1월 이미 사망해 이날 상봉에서
형수 문영숙(66)씨와 조카 리철호(45)씨를 만난 이종득(66)씨는 조카에게 "네가 장
손이다"라며 건강히 살 것을 당부했다.
이산가족 남측 상봉단 중 최고령자인 김옥준(96) 할머니는 생면부지의 외손자
김진명(38)씨를 끌어안고 그리운 셋째 딸 얘기부터 묻기 시작했다.
2년 전 유명을 달리했다는 얘기에 김 할머니는 "2년만 빨리 왔어도.."를 되뇌면
서 손자의 손을 놓지 못했다.
남측 방문단 100명은 이날 두 시간 동안의 단체상봉에 이어 같은 장소에서 환영
만찬을 갖고 해금강호텔로 이동, 반세기만의 상봉으로 설레는 마음을 달래며 상봉
첫날 밤을 보낼 예정이다.(금강산=공동취재단)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