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야, 너는 좋겠다.
길 없는 길이 많아서,
새 길을 닦거나 포장을 하지 않아도,
가다가 서다가 하지 않아도 되니
정말 좋겠다.
길 위에서 자주자주 길을 잃고
길이 있어도 갈 수 없는 길이
너무나 많은 길 위에서
나는 철없이 꿈길을 가는 아이처럼
네가 부럽다.
정말 부럽다.
이태수 '새에게' 부분
시인은 늘상 떠나는 사람이다.
어쩔 수 없이 현실에 붙잡혀 살고있지만 마음만은 현실을 떠나 꿈과 이상에 사는 사람이다.
시인이 새를 부러워하는 것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단순히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음이라기보다는 자유라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삶에 대한 무게가 너무 빨리, 너무 무겁게, 또 너무 오래 지고 있다는 생각에 그 짐을 벗고 싶다는 충동보다는 자유에 대한 갈망이 너무 강해서 그렇게 비춰졌다고 보는 게 좋겠다.
서정윤(시인.영신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