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안 가결이후 TV 방송사를 비롯한 매스컴과 각종 단체들은 경쟁적으로 토론회를 열고 있다.
토론회란 쟁점과 관심사안에 대해 시청자-국민들의 궁금증을 풀어주고 이해를 돕기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토론문화가 미숙한 풍토에서 흔히 그렇듯이 토론회는 말싸움으로 끝난다.
탄핵과 같이 중대하고 심각한 사안의 경우 참석자들의 첨예한 이해관계와 시각차이로 그 말싸움은 사실상 말싸움 수준을 넘어 이전투구로 변질하고, 본질과 무관한 교언과 폭언이 판을 친다.
▲지난 12일밤 방영된 모방송 토론회에서 열린우리당 유시민 의원과 현 한나라당 대변인 전여옥씨의 설전이 관심을 모았다.
국회 탄핵 육탄저지에 앞장섰던 유 의원은 친노의 선봉장이고 전씨는 반노의 대표적 논객이다.
유 의원은 " '노 대통령은 시대정신이 낳은 미숙아라는 어느 분의 평가는 상당히 일리 있다.
노 대통령은 시대가 나아 가야할 바를 체현하고 있으나 좀 미숙하다.
왜냐하면, 그런 시대가 오기 전에 먼저 나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서 전씨는 "적어도 대통령직 수행을 위해서는 직책의 위중함을 아는 사람이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게 좋다.
미숙아는 인큐베이터에서 키운 뒤에 나와야 제대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고 응수했다.
이날 토론의 핵심적인 부분, 국민들의 이해에 아주 중요한 부분에 두사람은 접근했다.
그러나 이후의 공방은 토론회와 무관하게 흘렀다.
유 의원은 "비열한 인용"이라며 거칠게 반응했고 전씨는 "비열하다는 근거가 뭐냐"고 대응했다.
▲또 다른 방송에선 한나라당 의원이 탄핵과 관련 "총선을 앞두고 지지 세력 결집을 위해서 노 대통령이 탄핵을 기다리며 버티기를 한 것"이라고 말하자 아나운서인 사회자가 "알면서 왜 했느냐?"고 되물어 그 의원을 무색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의원의 논리적 말솜씨 부족과 사회자의 금도를 넘은 발언이 재밋거리 화제를 넘어 토론회를 제대로 만들어가는데 장애가 된 셈이다.
▲방송 뿐 아니라 여기 저기서 황당한 발언들이 튀어나왔다.
"촛불시위에 나오는 이태백, 사오정 여러분들은 스스로 못나서 실직자가 되었다고 생각하나. 그것은 대통령 때문이다"(홍사덕 한나라 의원). "열린우리당 지지율 상승은 변태적 현상"(김용균 한나라의원). "지금 20대~30대는 분별력이 떨어진다.
선동이나 하고 부화뇌동하고…"(박상희 민주당의원). "노자는 말했다.
젊은이는 약하고 늙은이는 강하다.
약함은 삶의 무리요, 강함은 죽음의 무리다"(도올 김용옥). 무수한 말이 나왔지만 "이념과 세대의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서울대 임현진 교수 등)는 말이 말없는 말의 주류가 아닐까싶다.
김재열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