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 피해지역 응급복구에 투입했던 경찰과 군 병력이 대통령 탄핵사태로 인력 지원을 중단하면서 경북북부지역 폭설 피해복구가 장기화하고 있다.
16일 경북도재해대책본부에 따르면 폭설 이후 지난 7일부터 매일 경찰 1천600여명이 응급복구를 지원했으나 12일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비상근무체제로 전환되면서 13일부터 경찰의 폭설복구작업 지원이 바로 중단됐다.
매일 1천100여명 정도 투입되던 군병력 지원도 15일부터 절반가량인 630명으로 줄었다.
안동지역에서는 그동안 하루 150~200명의 군 병력과 중장비가 지원됐으나 대통령 탄핵 이후 13일부터 하루 30명 선으로 병력 지원을 대폭 줄였고 이마저도 18일부터는 지원 중단을 안동시청에 통보했다.
예천군 지역에서도 지난 8일 245명, 9일 300명, 10일 710명, 11일 469명, 12일 364명 등 군.경이 대폭적인 인력 지원에 나섰으나 대통령 탄핵 이후 13일 130명, 15일 95명으로 지원인력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눈이 녹기를 기다렸다가 막바지 복구에 나선 농가는 인력을 제대로 못구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본격 영농철이 다가왔지만 대부분의 피해 농가들이 복구를 제대로 못해 적기 영농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3ha의 인삼밭 해가림 시설을 복구중인 안동시 북후면 연곡리 권영수(60)씨 등 농민들은 군.경의 일손 지원이 끊긴 뒤 하루 7만~8만원씩 품삯을 주지만 인부를 구할 수가 없다며 발을 구르고 있다.
예천군청의 한 직원은 "현재 상태로는 폭설피해 복구가 언제 끝날지 모르겠다"라며 "인력 지원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복구 일정이 앞당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긴급 부시장.부군수 회의를 15일 소집한 경북도는 폭설피해의 빠른 복구를 위해 군부대와 경찰에 지원을 요청, 군 병력의 계속적인 지원을 약속받았다.
안동.장영화기자 yhjang@imaeil.com
예천.마경대기자 kdm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