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바쁜 한국 경제가 이번엔 암초를 만났다.
가계부채 급증과 신용불량자 양산, 빈부 격차 심화에다 끝이 보이지 않는 실업난, 어느 것 하나 난제(難題)아닌 것이 없는 마당에 '대통령 탄핵'이라는 봇짐이 하나 더 추가됐으니 한국경제로서는 큰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정치권이 경제를 도와줘도 시원찮을 판국에 거꾸로 부담을 안겨주고 있으니 그야말로 화불단행(禍不單行)이 아닌가.
그러나 경제는 정치와는 엄연히 구분돼야한다.
경제는 흐름을 멈추면 곧 '죽음'이다
어떤 경우라도 정치 상황에 경제가 희생돼서는 안된다.
'소득 2만달러'와 '국가균형발전'의 꿈을 안고 출발한 새 정부로서는 이같은 정치적 시련이 엄청난 질곡이 될 것이다.
이런 상황일수록 흔들림 없는 의연한 자세로 우리는 경제를 지켜야한다.
만에 하나, 정치적 동요로 인해 경제가 영향을 받는다면 한국경제는 국제적으로 '신뢰 상실'이라는 돌이킬 수 없는 업보(業報)를 받아야한다.
탄핵을 단행한 국회가 오히려 불안해하는 것도 바로 이런 부분이 아니겠는가.
지금 외신은 한국경제를 오히려 덜 걱정하고 있다.
비록 한국이 정치적 혼란 상태를 맞고 있지만 탄핵안이 국가 신용등급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도하고 있다.
국내 주식 시장도 일시적 동요를 보이고 있으나 장기화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만큼 한국경제가 성숙했다는 증거다.
이번 기회에 '정치에 휘둘리지 않는' 한국경제의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줘야 할 것이다.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수출이다.
내수가 바닥권을 헤매고 있는 지금, 그나마 우리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것은 수출이 아닌가. 이제 겨우 칠레와 첫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함으로써 해외 무역 전열을 재정비한 상태다.
이해득실이 우글거리는 국제 무대에서 자칫 정치적 불안정이 경제 '불확실성'으로 연결된다면 우리가 애써 쌓아온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하루 아침에 물거품이 되고 말 것이다.
문제는 국민들의 마음가짐이다.
정부와 금융감독위원회, 한국은행은 대통령 탄핵안 가결에 따른 금융시장 동요를 막기 위한 즉각 비상체제 가동에 들어갔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위기 극복을 위한 공조를 선언하고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특히 대구시는 노사정 공동선언문을 채택, 분위기 일신에 들어간 상태다.
이런 노력들이 선언적 의미로 끝나서는 안될 것이다.
이제 경제가 '자업자득'이란 소리를 들어서는 안된다.
한 치 차이의 경쟁력으로 승부가 엇갈리는 세계화 시대에 경제가 정지한다는 것은 곧 '후퇴'를 의미한다.
도탄에 빠진 민생이 정쟁(政爭)의 담보물이 되는 것을 국민은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블룸버그 통신의 '한국이여, 중요한 것은 경제와 부채다.
이 멍청이들아'라는 경고를 잊어서는 안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