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국간 첨예하게 이익이 부닥치는 동아시아에서 평화구축 방안은 무엇일까'.
계명대 일본학과는 개교 50주년을 기념해 12일 낮 계명대 본부 대회의실에서 '현대일본과 아시아 관계의 재검토'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우리 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의 교수.연구자들이 대거 참석한 이번 학술회의는 북한 핵문제를 비롯해 일본의 우경화, 중국의 외교정책 등 동아시아 현안에 대한 활발한 의견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성환 계명대 교수는 '북한문제와 한일관계' 주제발표에서 "한일간의 안보 협력체제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한일간의 양자관계가 북한, 중국 등을 포함한 다자관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다자관계의 구축은 한국이나 일본 어느 한 국가만의 노력으로는 매우 어려우며, 한일양국의 공동 노력이 필요한 부분"이라며 "이러한 측면에서 한일간에는 새로운 협력관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문제와 한중관계'를 발표한 김옥준 계명대 교수는 "중국이 제시하고 있는 북핵 문제의 해법은 중국이 주도하는 다자대화의 틀 속에서 북.미 양국의 대화를 유도하면서 그 접근 방안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라며 "북핵문제 해결의 접점은 이미 정해져 있다"고 얘기했다.
쇼지 준이치로(庄司潤一路) 일본 방위청방위연구소 연구원은 '일본의 대아시아 정책의 역사적 배경'에서 "근대 이후의 일본 외교는 어떤 때에는 극단적인 구미(歐美)에 심취, 또 어떤 때에는 극단적인 아시아주의로 추와 같이 심하게 흔들려 왔다"고 지적했다.
텐페이량(田培良) 중국인민외교학회 이사는 '미일 군사동맹과 중국'을 통해 "중국, 미국, 러시아, 한국 등을 포함한 북동 아시아 지역의 대화를 통해서, 관계국과 함께 기반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지역의 안전 보장이 취해야 할 형태"라고 밝혔다.
션하이타오(沈海濤) 길림대학 교수는 '동아시아에 대한 일본 군사정책과 중국'에서 "미일 안전보장동맹의 강화, 일본의 유사법제, 테러대책 및 이라크 자위대파병, '비핵3원칙', 평화헌법의 재평가논의 등은 지역안전보장의 전략적 밸런스를 붕괴할지도 모를 우려할 만한 양상"이라고 지적했다.
히시키 가쓰요시(菱木一美) 히로시마 슈도대학 교수는 '일본의 안전보장의 새로운 전개와 아시아'에서 "상호 관여의 다국간 안전 보장의 골조가 궤도에 올라야만, 동아시아 지역은 유해한 '위협의 창출'을 배제하고, 무익한 군비 확장을 서로 제어하고, 분쟁을 회피해 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